학술논문
지역 내 협력적 통합교육 프로그램 제공에 필요한 교사 재교육 모형 개발을 위한 실태 조사
이용수 0
- 영문명
- Developing a Regional In-Service Teacher Training Model for Providing a Collaborative Inclusion Program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형일 황복선 박현주 박혜준 채희태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7권 제4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통합교육 현장에 적용이 용이한 실제적 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개별 장애아동에게 필요한 관련서비스 영역의 공통적 이해기반을 구축하고 지역 내 현장교사의 의견을 수렴하여 협력적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의 모형과 교육내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충남지역의 특수교사와 일반교사 241명의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1) 교사들의 재교육 경험 및 욕구, (2) 관련서비스 영역별 교육경험 및 희망 교육영역, (3) 재직학교 및 담당 학급의 관련서비스 지원 실태, (4) 지역 내 협력적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정보 등의 연구문제에 따라 문항별로 빈도 및 백분율 또는 선호도 순위로 분석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regional in-service teacher training model for providing a collaborative inclusion program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The suggested forms and contents for this teacher training model are based on the survey results by 241 teachers in Chungnam region. In order to collect diverse ideas of in-service teachers regarding the highly collaborative inclusion programs, the surveys were given to both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were helpful to understand the limited support for inclusion services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the teachers' urgent needs for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effective inclusion and related service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통합교육 프로그램과 관련 서비스의 이해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Ⅵ.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기의 초기 중이염과 후기 언어발달의 관련성에 관한 문헌의 연구방법과 결과의 고찰
- 장애 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참여를 위한 통합학급 교사의 수행 능력
- 가정배치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정신지체 특수학교 수학교육용 CD-ROM Title의 내용 및 품질 분석
- 난화 활동이 정신지체아동의 도형-배경 변별과 보고 쓰기 오류에 미치는 효과
- 에스퍼거 장애 아동에 대한 비장애 아동의 수용태도 조사
- 통합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
- 청각장애학생의 산술 문장제 해결 능력에 대한 연구
- TV광고를 활용한 마인드맵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 조음 및 음운장애아동과 일반아동간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 통합학급 아동의 장애급우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특성
-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팀 접근 전략에 관한 문헌고찰
- 일반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의뢰전 중재 적용 실태
- 통합 환경에서의 단계별 놀이프로그램이 자폐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지역 내 협력적 통합교육 프로그램 제공에 필요한 교사 재교육 모형 개발을 위한 실태 조사
- 초등학교 학습장애 판별 준거에 관한 논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