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 에 나타난 장애 관련 활동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Activity Analysis related to the Disability shown in 「The Guiding Materials for the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오숙현 고은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8권 제3호, 71~10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9.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용 지도서인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에 수록된 장애관련활동을 현행 ‘유치원 교육과정’운영이라는 맥락 속에서 탐색해 봄으로써 유아기 장애이해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라 교육부에서 발행한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를 대상으로 장애관련 활동의 비중, 목표 및 내용, 활동 유형, 교수-학습방법 및 매체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에 실린 활동 중 장애관련 활동은 아주 낮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관련 활동의 목표는 적절히 진술된 경우가 있는 반면, 진술이 너무 포괄적이거나 관련성이 적은 경우도 있었다. 장애관련 활동의 내용은 Ⅰ수준 보다 Ⅱ수준의 활동이 많았고, 비교적 많이 다루고 있는 장애유형은 지체장애시각장애였으며, ‘유치원 교육과정’의 5개 생활영역 중 주로 ‘사회생활영역’에 관련되어 있었다. 셋째, 장애관련활동의 활동 유형은 자유선택활동 보다 대소집단활동이 많았다. 넷째, 장애관련활동의 교수학습 방법은 ‘자기표현’ 이 가장 많았고, 교수-학습 매체는 직접적 경험의 경우 실물자료 및 인형의 사용이 많았고, 영상적 경험의 경우는 그림자료 및 사진자료가 많이 사용되었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유아 통합교육과정의 운영 실제 연구
-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적응행동기술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통합학급에서 정착수업이 학습장애아동의 언어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 에 나타난 장애 관련 활동 분석
-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이 정신지체학생의 주의집중 행도에 미치는 효과
- 장애학생의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 수정방법 및 사례
- 사회적 촉진에 따른 정신지체학생과 일반학생의 학교급별(초.중.고) 운동기능수행 효과 분석
- 장애학생의 기능 수준에 대한 일반교사의 요구 분석
- 구조화된 인형의 집 놀이 활동이 장애유아의 자아개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 성격변인을 통한 정신지체 및 일반학생 판별에 대한 연구
- 장애학생의 직업전환을 위한 지역사회 기관간의 프로그램 연계
- 화용론적 언어중재를 통한 ADHD 아동의 의사소통 기술 증진 연구
- 정신지체 특수학교 과학수업을 통한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