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적 촉진에 따른 정신지체학생과 일반학생의 학교급별(초.중.고) 운동기능수행 효과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n Social Facilitation for Motor Skill Performance of Mentally Retarded Students and Non-Disabled Students(Elementary, Middle, High)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이성철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8권 제3호, 129~146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9.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급별(초ㆍ중ㆍ고)에 따라 정신지체학생과 일반학생의 운동기능수행에 타인의 존재가 미치는 정부적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었다. 첫째, 타인의 수 변화에 따른 운동기능수행에서는 정신지체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과 일반 초등학생은 타인의 수가 많을 때보다 적을 때에 수행수준이 더 높았으나, 일반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타인의 수가 적을 때보다 많을 때에 수행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타인의 거리 변화에 따른 과제수행에서는 일반 중학생과 고등학생이 타인의 거리가 멀 때보다 가까울 때에 수행수준이 높은데 비해, 정신지체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과 일반 초등학생은 타인의 거리가 가까울 때보다 멀 때에 수행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타인의 성 변화에 따른 과제수행에서는 정신지체 초등학생과 일반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은 타인의 성이 이성일 때보다 동성(남자)일 때에 수행수준이 높았으나, 정신지체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타인의 성이 동성일 때 보다 이성일 때에 수행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전체적으로 교육현장에 조명해 볼 때, 학교급에 따른 정신지체학생의 상반된 결과의 차이에서 나타난 부정적인 불안 요인 해결을 위해 보다 다양한 시각에서 교실 수업 현장의 사회적 촉진 환경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성철. (2006).사회적 촉진에 따른 정신지체학생과 일반학생의 학교급별(초.중.고) 운동기능수행 효과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8 (3), 129-146

MLA

이성철. "사회적 촉진에 따른 정신지체학생과 일반학생의 학교급별(초.중.고) 운동기능수행 효과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8.3(2006): 129-1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