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적응행동기술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이용수 0
- 영문명
- Teacher's Importance Perception of Adaptive Behavior Skill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희규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8권 제3호, 28~46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의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 교사들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장애학생의 통합학급 적응행동기술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애학생들이 통합학급 적응에 필요한 적응행동기술을 파악하여 장애학생 환경전환교육의 장애학생 관련 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초등학교와 중학교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통합학급에서 장애학생들에게 요구되는 중요한 적응행동기술을 조사하고,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 초등학교 저학년 교사와 고학년 교사, 초등학교 교사와 중학교 교사 간에 중요하게 인식하는 적응행동기술 중요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적응행동기술 6개 하위영역 학급적응행동기술, 학교적응행동기술, 개인기술, 대인관계기술, 적절한 반응기술, 의사소통기술 총 74개 항목 중 24개 항목을 중요한 적응행동기술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수교사에 비해 일반교사가, 초등학교 교사에 비해 중학교 교사가, 그리고 초등학교 저학년 교사에 비해 고학년 교사가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에 필요한 적응행동 기술에 대한 요구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핵심어> 교사인식, 통합교육, 적응행동기술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유아 통합교육과정의 운영 실제 연구
-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적응행동기술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통합학급에서 정착수업이 학습장애아동의 언어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 에 나타난 장애 관련 활동 분석
-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이 정신지체학생의 주의집중 행도에 미치는 효과
- 장애학생의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 수정방법 및 사례
- 사회적 촉진에 따른 정신지체학생과 일반학생의 학교급별(초.중.고) 운동기능수행 효과 분석
- 장애학생의 기능 수준에 대한 일반교사의 요구 분석
- 구조화된 인형의 집 놀이 활동이 장애유아의 자아개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 성격변인을 통한 정신지체 및 일반학생 판별에 대한 연구
- 장애학생의 직업전환을 위한 지역사회 기관간의 프로그램 연계
- 화용론적 언어중재를 통한 ADHD 아동의 의사소통 기술 증진 연구
- 정신지체 특수학교 과학수업을 통한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