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지체 특수학교 과학수업을 통한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f the Science Teachers’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Special School for Student with Mental Retarda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정은영 강영심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8권 제3호, 253~28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정신지체 학생에게 적합한 과학교육과정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로 정신지체 특수학교 과학교사에 의해서 실제로 계획되어지고, 교실상황에서 전개되어지는 교육과정 실행 형태를 알아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연구 목적을 위해 세 명의 정신지체 특수학교 과학 교사의 교육과정 관련 문서와 수업상황, 면담자료를 분석하여 정신지체 특수학교 과학교과의 교육과정 실행형태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정신지체 특수학교 과학교사들은 학생의 특징과 생활에서 요구되어지는 기능에 맞추어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을 선택, 수정 또는 새로운 교육과정을 계획, 실행하는 적극적이고, 창의적인 교육과정의 주체로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또 학생들의 개별화 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5단계의 수업패턴 등 여러 가지 수업형태를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유아 통합교육과정의 운영 실제 연구
-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적응행동기술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통합학급에서 정착수업이 학습장애아동의 언어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 에 나타난 장애 관련 활동 분석
-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이 정신지체학생의 주의집중 행도에 미치는 효과
- 장애학생의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 수정방법 및 사례
- 사회적 촉진에 따른 정신지체학생과 일반학생의 학교급별(초.중.고) 운동기능수행 효과 분석
- 장애학생의 기능 수준에 대한 일반교사의 요구 분석
- 구조화된 인형의 집 놀이 활동이 장애유아의 자아개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 성격변인을 통한 정신지체 및 일반학생 판별에 대한 연구
- 장애학생의 직업전환을 위한 지역사회 기관간의 프로그램 연계
- 화용론적 언어중재를 통한 ADHD 아동의 의사소통 기술 증진 연구
- 정신지체 특수학교 과학수업을 통한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