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암묵적 접근을 통한 특수교사의 교사상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Image of G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Based on Implicit Theorie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정명옥 강영심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1권 제1호, 243~26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3.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암묵적 접근을 통해 특수교사의 교사상 구성요인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수행된 연구절차는 문항개발 단계와 특수교사의 교사상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구성요인을 도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졌다. 먼저 문항개발을 위하여 부산․경남의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80명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지를 이용하여 훌륭하고, 유능하며, 바람직한 특수교사가 보이는 행동특성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였다. 특수교사가 기술한 내용은 일차적으로 119문항으로 정리되었다. 그리고 119문항에 대하여 특수교육과 국어교육 관련 전문가 10명이 교사상으로서의 내용 적합성, 문장의 명확성, 내용 중복 여부 등을 확인하는 내용타당도 검증 과정을 거쳐 총 70개의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그 후 301명의 특수교사가 5점 리커트 척도로 만들어진 설문지에 반응하였고, 그 결과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사상 구성요인으로 인성특성, 수업에 대한 전문성, 학급 및 학교경영능력, 장애학생지원능력, 상담능력의 5요인(총 32문항)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특수교사의 교사상 구성요인은 특수교사에게 자신이 특수교사로서의 자질이 있는지 그리고 그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는지 점검하게 하는 준거를 제공한다. 또한 교원양성기관과 교육행정기관에서는 능력 있는 특수교사를 양성하고 지원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중요한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mponent factors of the image of g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based on implicit theories. To explore the component factors of the image of g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open questionnaires regarding of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ideal, competent, respectable, and desirabl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given to 80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in Busan and Gyeongnam area. And preliminary question items were developed by the collected 80 open questionnaires. Then, the verification of content-related validity of the preliminary question items by 10 experts on special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and preliminary tests by 20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taken, 70 question items for the questionnaire of survey were selected. The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301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in Busan and Gyeongnam area. To analyze the collected 301 questionnair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5 factors(32 question items) of personality, speciality of the teaching, managemental ability of the class and the school, supportive ability for the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ability of counselling for the image of g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deriv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명옥,강영심. (2009).암묵적 접근을 통한 특수교사의 교사상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1 (1), 243-261

MLA

정명옥,강영심. "암묵적 접근을 통한 특수교사의 교사상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1.1(2009): 243-2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