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폐성장애 학생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기반한 미술활동 선택행동과 자해행동 간의 기능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Functional Analysis of activity choice behavior based on positive behavior support and self-injury behavior of autistic student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박주연 정해동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1권 제1호, 77~9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3.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자폐성장애 학생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기반한 미술활동 선택행동과 자해행동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대상은 소리를 지르면서 손등을 깨무는 자해행동 때문에 일반고등학교 통합학급에서 지속적인 수업을 받기 어려운 만 18세의 자폐성장애 남학생 1명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반전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총 25회기동안 매 회기에 발생된 미술활동 선택행동과 자해행동의 횟수를 측정하고, 중재동안 상황관찰(Touchette et al., 1985)을 사용하여 그 기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긍정적 행동지원에 기반한 미술활동 선택행동은 첫째, 자폐성장애 학생의 손을 물어뜯는 자해행동을 감소시켰으며, 둘째, 그들이 선호하는 미술 재료와 주제는 변화하고 미술활동 선택에 있어 언어적 지시보다 비언어적 지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긍정적 행동지원으로서 자폐성장애 학생의 미술활동 선택 계획 시 효과적인 환경과 방법 제시에 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art-activity choice behavior based on positive behavior support and self-injury of autistic student.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an autistic male student (18.5 years) who belonged to an integrated class consisting of 40 general education students. Activity choice behavior and self-injury were evaluated using A-B-A-B design for 25sessions. The functional analysis was also conducted by using a situation observation(Touchette et al., 198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rt-activity choice behavior had positive effects on reducing self-injury of autistic student such as biting the back of his hand. Second, it was revealed that participant's preference for material and subjects of his art work were changed, he preferred nonverbal presentation to verbal presentation in a choice situ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PBS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 model would be used as the basic evidence of what the best environment should be like and effective methods would be like for the students with autism when we consider art-activity cla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폐성장애 학생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기반한 미술활동 선택행동과 자해행동 간의 기능 분석
- 장애아동의 취학유예 실태 및 취학유예 결정 과정과 부모의 인식
- 장애유아의 감각통합 기능 특성 분석
- 암묵적 접근을 통한 특수교사의 교사상 연구
- 통합학급에서의 교수적 수정 프로그램이 자폐성장애 아동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효과
- CAS를 통한 일반 아동과 학습장애, ADHD 아동의 인지과정 비교
- 13세 이하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CALS(생활적응기술 척도)의 심리측정적 특성 연구
- 청각장애유아의 초등학교 전환교육에 대한 부모와 특수교사의 인식 및 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 정착수업이 특수교육요구아동의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 일상 언어에 기초한 과학적 언어지도가 정신지체아동의 자기통제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일반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와 어머니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의 관계
- 사회적 관심증진 짝놀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공격성 및 대인관계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 장애아동을 위한 학대 예방 교육 프로그램
- 자기결정행동 구성요소 중 목표설정과 선택하기를 적용한 국어과 수업의 효과
- 특수교육 교사 이미지에 대한 특수교육 전공 대학생의 주관성 연구
- 농인의 농문화에 대한 태도와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 경제생활 특수교육용 소프트웨어 활용 수업이 초등학교 정신지체학생의 경제생활 과제수행능력과 행동 변화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