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교육 교사 이미지에 대한 특수교육 전공 대학생의 주관성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ubjectivity Study o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Imag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Special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한경임 송미승 박철수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1권 제1호, 25~4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3.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특수교육 전공 대학생의 특수교육 교사에 대한 이미지를 알아보기 위해 주관성 연구방법(Q-방법론)에 의해 실시되었다. 분석대상은 경남에 거주하며 대학에서 특수교육을 전공하는 대학생 1학년과 2학년 생 41명이었으며, Q-방법론에 따라 특수교육 전공 대학생의 특수교육 교사에 대한 이미지를 학생들의 주관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육 전공 대학생 1학년과 2학년생의 특수교육 교사에 대한 이미지는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세 유형 중 1유형이 특수교육 전공 대학생 1학년과 2학년생의 특수교육 교사에 대한 이미지를 가장 많이 설명하고 있었다. 제 1유형은 절대인성 소명적 직업인형, 제 2유형은 현실주의적 직능인형, 제 3유형은 인성중심 보편적 직업인형으로 구조화되고 명명되었다. 세 가지 유형이 가장 긍정한 진술문과 가장 부정한 진술문을 중심으로 각 유형별 특성을 제시하고,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pattern o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imag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special education. The Q-methodology was used for research because this method is useful for analyzing subjectivity like as individual value, attitude, belief and image. The Q-population of this study was 40 units got from previous study and P-sample was collected from freshman and sophomore majoring special education live in Gyeongnam province. The analyzing population were 41 that is, female 29 and male 12. As a result of analyze, special education teacher imag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special education were constituted in 3 types. The frist type was labeled the type of absolute humanity occupation focused a royal summons. They have ima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as a occupation having an unique summons. The second type was labeled the type of skilled occupation focused actualistic function. They have ima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as a occupation having professional skill. The third type was labeled the type of universal occupation based on humanity. They have ima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as one of a general occupation which it is not unique but just based on humanity .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경임,송미승,박철수. (2009).특수교육 교사 이미지에 대한 특수교육 전공 대학생의 주관성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1 (1), 25-49

MLA

한경임,송미승,박철수. "특수교육 교사 이미지에 대한 특수교육 전공 대학생의 주관성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1.1(2009): 25-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