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기결정행동 구성요소 중 목표설정과 선택하기를 적용한 국어과 수업의 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Korean Language Instruction with Goal-setting and Choice-making Opportuniti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determined Behavior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조명애 박은혜 이경순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1권 제1호, 309~32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3.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부 저학년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자기결정행동 구성요소 중 목표설정과 선택하기를 적용한 국어과 수업을 실시하여 장애아동의 학업성취와 자기결정행동에서의 신장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장애아동은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 총 20명이며, 실험집단에는 국어과 수업에 동시를 활용하여 자기결정행동 중 목표설정과 선택하기가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에는 국어수업에 실험집단과 동일한 동시를 활용하되 교사주도의 국어 수업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실험집단 장애아동의 학업성취도와 자기결정행동력이 통제집단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기결정행동을 적용한 국어 수업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미래 연구를 위해 제언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Korean language instruction using goal-setting and choice-making opportunitie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determined behavior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Participants were twen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from 2nd to 4thgrade) from four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y were divided evenly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each with 10 children. For the experimental group, goal-setting and choice-making component elements of self-determined behavior were applied to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during the Korean language class. Appropriate nursery rhyme and easy poems were used. For a control group, the same teaching materials were used, but the traditional language instruction was provided. As a result, the intervention using component elements of self-determined behavior was verifi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enhancing both children'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determined behavior. Therefore, this study imply that intervention using component elements of self-determined behavior could be a useful teaching strategy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determined behavior. In the future, teaching methods should be investigated using not only component elements mentioned in this study but also other component elements of self-determined behavior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명애,박은혜,이경순. (2009).자기결정행동 구성요소 중 목표설정과 선택하기를 적용한 국어과 수업의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11 (1), 309-329

MLA

조명애,박은혜,이경순. "자기결정행동 구성요소 중 목표설정과 선택하기를 적용한 국어과 수업의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11.1(2009): 309-3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