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교육 중재연구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Evaluating Evidence-Based Interventions in Subject Area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서유진 나경은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4권 제1호, 435~46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3.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주요 교과영역 중재연구에서 제공된 중재의 특성과 효과크기를 살펴보고, Gersten 외(2005)와 Horner 외(2005)의 질적지표를 기준으로 각 중재연구의 질을 평가하여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영역별 증거기반 중재가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해보면, 첫째,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총 27편의 국어, 수학, 사회, 과학 교과 중재연구의 특성과 효과크기 분석결과, 국어교과는 읽기와 유창성 영역에서, 수학교과는 연산과 문장제 문제풀이 영역에서 인지과정 전략에 관련된 중재를 제공한 연구가 많았다. 또한, 1편을 제외한 모든 연구에서 중재의 효과성을 입증하는 결과를 제시하였으나, 단일대상연구의 경우, 기초선 기간에서 자료점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낮은 효과크기를 보인 연구가 많았다. 둘째, 질적지표 충족도 평가결과, 증거기반 실제의 기준을 만족하는 연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지적장애 학생의 주요 교과영역별 학업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증거기반 중재를 선정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기술, 실험효과와 결과 제시의 질적지표를 충족하는 연구는 많은 편으로 나타나, 앞으로 중재제공자와 측정도구 정보제시, 중재 충실도 측정, 중재의 사회적 타당도와 일반화 측정의 질적지표를 고려한 중재연구가 좀 더 활발히 수행된다면, 지적장애 학생에게 일반교육과정에 기초한 교과교육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증거기반 중재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 sizes of intervention studies in main subject area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evaluated the quality of the studies based on the quality indicators of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provided by Gestern et al.(2005) and Horner et al.(2005) to identify the evidence-based intervention for the improvement of academic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main subject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the follows: Firs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 sizes of a total of 27 intervention studies, intervention studies for reading and fluency skills in the area of Korean literature, and intervention studies for arithmetic and word problem-solving skills in the area of mathematics were frequently provided focusing on cognitive processing strategies. All intervention studies, except for one, demonstrated the positive findings, but many single subject design studies showed low-level effect sizes due to the inconsistent data points during the baseline periods. Second,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the intervention studies, no study was met with the criteria of evidence-based practice. Therefore, the evidence-based interventions for the improvement of academic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main subject areas were not able to be identified. However, several quality indicators, for example, description of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and demonstration of intervention effects and results were sufficiently provided in the many studies, so that if the studies carefully consider the quality indicators, such as provision of information on intervention provider, measure of intervention fidelity, provision of information on measure, and measure of social validity and generalization, the evidence-based interventions for the improvement of academic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main subject areas are successfully identifi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독일의 통합교육 현황과 운영사례를 통한 시사점
-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분석
-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연구
- 교사와 부모가 지각한 장애학생의 교수-학습활동에 관한 삶의 질 수준 분석
- 유치원 교사의 언어치료 서비스에 대한 인식 조사
- 마인드맵을 활용한 독서 일기 지도가 지체장애 초등학생의 쓰기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교육 중재연구 분석
- 정신지체학생 중심 특수학교 도서관 운영 실태에 대한 조사연구
- 로우테크 보조공학 활용을 위한 협력적 팀워크 중재가 지적장애 중학생의 쓰기 명료도와 시간에 미치는 영향
- 운동교육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동작모방능력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 청각장애학교 수업의 언어적 상호작용 특징 분석
-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유형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연구
- 장애 유아의 언어치료서비스에 대한 부모 만족도
- 제7차 개정교육과정 초등학교 교과용도서의 장애관련 내용 분석
- 장애 이해 프로그램 적용이 고등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변화
- 쓰기 저성취 아동의 띄어쓰기 오류 실태 분석
- 일본 드라마 “君の手がささやいてる” 에 나타난 농문화적 관점의 분석
- 통합학급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학교생활 요구 및 만족도 비교 연구
- 동아시아문명론에 의거한 특수교육 본질복원과 교사론의 정립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