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각장애학교 수업의 언어적 상호작용 특징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n Flanders verbal interaction in classes of the school for the Deaf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최상배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4권 제1호, 27~4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3.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청각장애학교의 수업 언어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12개 청각장애학교 수업을 플랜더스 언어상호작용분석법에 의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상호작용분석 항목별 빈도를 분석한 결과, 강의, 비언어적 상황, 질문, 학생 반응 순으로 많이 나타났으며, 학생 비평, 지시, 학생 주도, 감정 수용, 칭찬이나 격려, 학생 아이디어 수용 순으로 출현 빈도가 낮았다. 또한 비언어적 상황의 출현 빈도를 분석한 결과, 매체활용, 침묵 또는 혼란, 신체활동, 개별과제 수행 또는 모둠 활동, 수업 준비 또는 정리 등 수업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활동이 많았다. 둘째, 언어상호작용분석 지수별 특성을 분석한 결과, 비지시비, 교사의 질문비, 학생의 발언비, 악순환비는 모두 적절한 수준이었으나, 학생 질문 및 넓은 답변비는 낮은 수준이었고, 수업 형태는 교사의 질문 후 학생의 단순 답변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학생의 인지적 특성과 교과 특성을 고려한 교사의 발문을 통해 교사는 학생의 다양하고 높은 수준의 답변을 유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교사의 발문 유형은 진위형과 단답형과 같은 수렴적 발문이 대부분이었으며, 사고형과 초인지형과 같은 확산적 발문은 낮은 출현빈도를 보였다. 이는 청각장애학생이 높은 수준의 사고능력을 신장하도록 청각장애학생의 인지 특성을 고려한 보다 구조화된 교사의 발문 기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in classes of the school for the Deaf by Flanders verbal interaction. For the study, 12 lessons of 1 Deaf school were selected.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verbal interaction categories in order of high frequency were lecture, non-verbal situation, teacher's question, student's response. But there were rare to find criticizing, direction, student's initiation, accept feeling, praise or encouragement. And the categories of non-verbal situation were mostly connected with instruction directly such as media utilization, silence or confusion, activity, individual task performance, group activity, instruction preparation or arrangement. Second, ratio of indirection, teachers' question, and students' utterance were appropriate. But ratio of student's initiative question and high-level answer were very low. The main pattern of instruction was teacher's question-student's simple answering. This results represent the necessary of teachers' question skill improvement according to Deaf students' cognitive and subject characteristics. Third, most teachers' question type were closed question type such as true-false and short-answer. This results imply that structured and well planed teacher's question skills are required to improve Deaf students' thinking 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독일의 통합교육 현황과 운영사례를 통한 시사점
-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분석
-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연구
- 교사와 부모가 지각한 장애학생의 교수-학습활동에 관한 삶의 질 수준 분석
- 유치원 교사의 언어치료 서비스에 대한 인식 조사
- 마인드맵을 활용한 독서 일기 지도가 지체장애 초등학생의 쓰기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교육 중재연구 분석
- 정신지체학생 중심 특수학교 도서관 운영 실태에 대한 조사연구
- 로우테크 보조공학 활용을 위한 협력적 팀워크 중재가 지적장애 중학생의 쓰기 명료도와 시간에 미치는 영향
- 운동교육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동작모방능력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 청각장애학교 수업의 언어적 상호작용 특징 분석
-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유형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연구
- 장애 유아의 언어치료서비스에 대한 부모 만족도
- 제7차 개정교육과정 초등학교 교과용도서의 장애관련 내용 분석
- 장애 이해 프로그램 적용이 고등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변화
- 쓰기 저성취 아동의 띄어쓰기 오류 실태 분석
- 일본 드라마 “君の手がささやいてる” 에 나타난 농문화적 관점의 분석
- 통합학급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학교생활 요구 및 만족도 비교 연구
- 동아시아문명론에 의거한 특수교육 본질복원과 교사론의 정립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