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치원 교사의 언어치료 서비스에 대한 인식 조사

이용수  0

영문명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n Speech and Language Therapy Related Service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박미혜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4권 제1호, 417~433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3.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언어치료 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부산 및 경남(김해, 창원, 진주) 지역의 일반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106명을 대상으로 학급의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실태, 의사소통장애와 언어치료 서비스에 대한 인식 및 이해에 대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학급에 의사소통 문제를 보이는 아동이 1명 이상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고, 아동의 발음이 부정확하여 알아듣지 못하지만 언어치료 서비스를 받고 있는 아동의 수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 교사들은 장애의 명칭이나 원인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으나 장애 아동에게 적절한 대처를 하기에는 전문지식이 부족하고 관련 개별치료를 통해 아동의 의사소통 문제가 해결되길 바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언어치료 서비스에 대한 이해 수준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교육에서 일반 유치원 교사의 역할이 중요한 점을 감안하며 이들이 필요로 하는 전문지식이나 대처 기술을 지원하기 위한 연수나 교육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며, 유아교육 장면 내에서 언어치료사와 협력적으로 교육을 할 수 있는 체계의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much kindergarten teacher understand and what their perception are on speech and language therapy related services of childre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06 preschool and kindergarten teacher in Busan and GyeongNam Province. The questionnaire was used to investigate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of children under their care and also to determine the level of their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related servic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First, 61.31% of teachers replies they are aware of over 1 children who display communication problems in their class, pronunciation problem was most frequent and children who were receiving speech & language therapy belonged to only 29.23% of children. Second, They were most aware of language development delay in communication disorders' name and most well aware of autism, hearing impairment and mental retarded as disabilities that causing communication disorders. They were considered most important as areas of social/emotional development. For children who need individual guidance, professional knowledge was most needed. They have a conference with parents upon when discovering a child have language problems. Most of teacher didn't have received any disability related professional training and learning. Third, from the result of assessing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speech and language related services on a 5 point scale, the kindergarten teachers' level of understanding was revealed to relatively low.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미혜. (2012).유치원 교사의 언어치료 서비스에 대한 인식 조사. 특수아동교육연구, 14 (1), 417-433

MLA

박미혜. "유치원 교사의 언어치료 서비스에 대한 인식 조사." 특수아동교육연구, 14.1(2012): 417-4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