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유형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Job Types of Special Class Teacher in the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백승민 최승숙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4권 제1호, 365~38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3.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는 교육의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최근 몇 년간 특수교육 현장에 기간제교사의 채용이 증가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하여 본 연구는 직무유형에 따라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차이와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으로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특수학급 정규교사와 기간제교사를 무선표집하여 총 200부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교사효능감은 개인적교사효능감과 일반적교사효능감(총 25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직무만족도는 자아실현, 상사관계, 직무자체, 동료관계, 보상체제, 근무환경(총 24문항)을 구성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정규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기간제교사 보다 높으며 직무만족도에서는 정규교사와 기간제교사가 하위요인에 따라 다른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교원 양성 및 채용 정책과 관련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teacher efficacy and the job satisfaction are important variables which influence the production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job types. The metho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ccording to random sampling of regular and temporary teachers of special class in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do, a survey was conducted on total 200 teachers. In the survey questionnaire, 25 items were included to investigate teacher efficacy and the section for job satisfaction consisted 24 item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teacher efficacy of regular teachers was higher than that of temporary teachers, while job satisfaction showed a different result according to subordinate factors. As teacher efficacy is a significant variable to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results of education, employment of temporary teachers should be avoided, yet filling vacancies of regular teachers and long-term policies for teacher employment are requir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독일의 통합교육 현황과 운영사례를 통한 시사점
-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분석
-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연구
- 교사와 부모가 지각한 장애학생의 교수-학습활동에 관한 삶의 질 수준 분석
- 유치원 교사의 언어치료 서비스에 대한 인식 조사
- 마인드맵을 활용한 독서 일기 지도가 지체장애 초등학생의 쓰기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교육 중재연구 분석
- 정신지체학생 중심 특수학교 도서관 운영 실태에 대한 조사연구
- 로우테크 보조공학 활용을 위한 협력적 팀워크 중재가 지적장애 중학생의 쓰기 명료도와 시간에 미치는 영향
- 운동교육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동작모방능력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 청각장애학교 수업의 언어적 상호작용 특징 분석
-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유형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연구
- 장애 유아의 언어치료서비스에 대한 부모 만족도
- 제7차 개정교육과정 초등학교 교과용도서의 장애관련 내용 분석
- 장애 이해 프로그램 적용이 고등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변화
- 쓰기 저성취 아동의 띄어쓰기 오류 실태 분석
- 일본 드라마 “君の手がささやいてる” 에 나타난 농문화적 관점의 분석
- 통합학급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학교생활 요구 및 만족도 비교 연구
- 동아시아문명론에 의거한 특수교육 본질복원과 교사론의 정립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