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 드라마 “君の手がささやいてる” 에 나타난 농문화적 관점의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Views on Disabled People Shown at the Japanese Drama “Kiminotega sasayaiteru”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조원일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4권 제1호, 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3.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장애관을 형성케 하는 중요한 수단의 하나로서 영상 매체 중에서도 일본의 TV드라마 “君の手がささやいている”를 대상으로 드라마에 투영된 등장인물별 및 장애모델의 다중 패러다임 중 사회적 관념론에 해당하는 농문화적 관점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등장인물별로는 주인공이자 농인인 美栄子의 장애관의 변화를 ‘청각장애인’으로서의 수동적 자아인식 시기, ‘농인’으로서의 정체성 자각과 부정의 반복 시기, 완전한 농 정체성의 확립 시기의 세 단계로 설명하였다. 그 외 인물을 비롯하여 장애모델의 다중 패러다임별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개별모델적 발상이 사회모델적 발상보다는 많이 나타났으며, 사회적 유물론은 도출되지 않았다. 최종적으로는 농 문화 파급을 위한 실천적인 전략을 제시하면서 농의 고유성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바탕으로 무조건적인 통합이나 분리가 아닌 배려를 통한 쌍방소통이 불가결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sability concept represented by the characters in a Japanese television drama series “Kiminotega sasayaiteru” in order to provide an appropriate understanding of Deaf people as well as a desirable direction for television drama to take in becoming a means for improving general society's attitude of disabled people. This study first categorized the disability models into those exhibited by the protagonist Mieko as below 3 steps, passive self-perception as person with 'hearing impairment', repeat of self-consciousness and denial of identity as a Deaf, construction of perfect Deaf identity. From the multiple paradigm of disability model, individual model was more than social model. Lastly I suggested mutual communication through consideration neither unconditional integration nor separation based on drastic understanding of Deaf identity was indispensable.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자료의 수집 및 분석절차
Ⅳ. 분석 결과 및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독일의 통합교육 현황과 운영사례를 통한 시사점
-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분석
-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연구
- 교사와 부모가 지각한 장애학생의 교수-학습활동에 관한 삶의 질 수준 분석
- 유치원 교사의 언어치료 서비스에 대한 인식 조사
- 마인드맵을 활용한 독서 일기 지도가 지체장애 초등학생의 쓰기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교육 중재연구 분석
- 정신지체학생 중심 특수학교 도서관 운영 실태에 대한 조사연구
- 로우테크 보조공학 활용을 위한 협력적 팀워크 중재가 지적장애 중학생의 쓰기 명료도와 시간에 미치는 영향
- 운동교육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동작모방능력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 청각장애학교 수업의 언어적 상호작용 특징 분석
-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유형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연구
- 장애 유아의 언어치료서비스에 대한 부모 만족도
- 제7차 개정교육과정 초등학교 교과용도서의 장애관련 내용 분석
- 장애 이해 프로그램 적용이 고등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변화
- 쓰기 저성취 아동의 띄어쓰기 오류 실태 분석
- 일본 드라마 “君の手がささやいてる” 에 나타난 농문화적 관점의 분석
- 통합학급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학교생활 요구 및 만족도 비교 연구
- 동아시아문명론에 의거한 특수교육 본질복원과 교사론의 정립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