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Distance from People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정혜영 서보순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4권 제1호, 117~14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3.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의 정도를 알아보고, 이를 배경변인에 따라 분석하며, 장애유형에 따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B시 소재 대학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94명에게‘국가․제도’,‘일반․생활’,‘학교․동료’,‘친구’,‘가족’차원으로 구성된 사회적 거리감 척도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차원에 따라서는‘일반․생활’,‘국가․제도’,‘학교․동료’,‘친구’,‘가족’순으로 사회적 거리감이 가까웠고, 이 중‘일반․생활’,‘국가․제도’,‘학교․동료’차원은‘보통’보다 가까운 사회적 거리감을 나타낸 반면 나머지 두 차원에서는‘보통’보다 먼 사회적 거리감이 표출되었다. 이를 배경변인별로 분석하였더니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특수교육관련 교과 수강경험이 없는 예비유아교사, 장애인과의 직접경험이 있는 예비유아교사가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유의미하게 적게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장애유형에 따른 분석에서는 시각장애, 지체장애, 청각장애, 지적장애, 정신장애 순으로 사회적 거리감이 가까운 것으로 나타나 예비유아교사들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장애유형에 따라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미래의 유아교육현장에서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수행하게 될 유아교사 양성교육과정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되며, 사회적 거리감을 감소시킬 체계적이고 다각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distance from people with disabilities, to analyze it depending on their background variables, and to compare among the types of disability. Two hundred ninety fou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universities located in B cities replied on 5 dimensional questionnaires ('nation․system', 'the public․ordinary life', 'school․co-worker', 'friend', 'family') about social distance from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 First, the order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distance is 'the public․ordinary life', 'nation․system', 'school․co-worker', 'friend', and 'family'. The first three dimensions('the public․ordinary life', 'nation․system', 'school․co-worker')were closer than 'normal' social distance and 'friend' and 'family' dimensions showed longer distance than 'normal' levels. Second, there were signigicant differences between college pre-service teachers and 4 year university pre-service teachers, between pre-service teachers who take special education classes and who take no special education classes, and between pre-service teachers who have direct relationships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who have no relationships. Third, there were visual disabilities, physical disabilities, hearing disabilities,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mental disorder in social distance order,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ategori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total score and in each dimension. In conclus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ould find that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some social distance from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re were diverse social distances depending on the categori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is results in grounded data to help make the curriculum of integrate educa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shows that there is a need for a multifaceted plan to reduce their social dista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독일의 통합교육 현황과 운영사례를 통한 시사점
-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분석
-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연구
- 교사와 부모가 지각한 장애학생의 교수-학습활동에 관한 삶의 질 수준 분석
- 유치원 교사의 언어치료 서비스에 대한 인식 조사
- 마인드맵을 활용한 독서 일기 지도가 지체장애 초등학생의 쓰기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교육 중재연구 분석
- 정신지체학생 중심 특수학교 도서관 운영 실태에 대한 조사연구
- 로우테크 보조공학 활용을 위한 협력적 팀워크 중재가 지적장애 중학생의 쓰기 명료도와 시간에 미치는 영향
- 운동교육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동작모방능력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 청각장애학교 수업의 언어적 상호작용 특징 분석
-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유형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연구
- 장애 유아의 언어치료서비스에 대한 부모 만족도
- 제7차 개정교육과정 초등학교 교과용도서의 장애관련 내용 분석
- 장애 이해 프로그램 적용이 고등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변화
- 쓰기 저성취 아동의 띄어쓰기 오류 실태 분석
- 일본 드라마 “君の手がささやいてる” 에 나타난 농문화적 관점의 분석
- 통합학급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학교생활 요구 및 만족도 비교 연구
- 동아시아문명론에 의거한 특수교육 본질복원과 교사론의 정립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