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지체학생 중심 특수학교 도서관 운영 실태에 대한 조사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The Survey Research on the Operation Status and Activation Ways of Special School Libraries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류명옥 이미숙 노진아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4권 제1호, 179~20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3.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정신지체학생 중심 특수학교 도서관의 운영 실태와 운영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기 위하여, 49개 정신지체학생 중심 특수학교에서 도서관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담당자 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내용은 정신지체학생 중심 특수학교 도서관 운영 실태와 특수학교 도서관의 활성화 방안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도서관 담당자는 사서교사 자격증이 없는 특수교육 전공 교사가 교과 수업을 하면서 하나의 업무로서 학교도서관을 담당하고 있는 실정이었으며, 도서관 담당 경력은 1년 미만이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였다. 학교도서관의 운영시간은 평균 5시간 이상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반수 이상의 학교도서관이 학교정보화 시스템의 구축과 도서관 이용에 대한 교육, 교과와 연계한 도서관 활용 수업 운영, 도서관 행사 프로그램 운영, 자료 대출 서비스를 운영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반한 정신지체학생 중심 특수학교 도서관의 활성화 전략으로, 사서교사의 확보, 정신지체학생을 위한 도서관 편의시설 개선, 다양한 장서의 확충, 학교구성원의 도서관에 대한 인식 개선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operation status and activation ways of special school libraries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study included 49 people in charge of the special school libraries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for the survey of the study. The survey consisted of the operation status of the special school libraries and the activation ways of the libraries. In results, the people in charge of the special school libraries are mostl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out the licence of the teacher librarian, and most of them had less than a year experience. The open hours of the library was over 5 hours a day, and majority of the libraries operated the school information system, education for the library utility, subject class related to library utility, library event program, and the lending service. As the activation ways for the special school libraries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placement of teacher librarian, improvement of amenities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expansion of the diverse books, and improvement of perception on special school librar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독일의 통합교육 현황과 운영사례를 통한 시사점
-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분석
-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연구
- 교사와 부모가 지각한 장애학생의 교수-학습활동에 관한 삶의 질 수준 분석
- 유치원 교사의 언어치료 서비스에 대한 인식 조사
- 마인드맵을 활용한 독서 일기 지도가 지체장애 초등학생의 쓰기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교육 중재연구 분석
- 정신지체학생 중심 특수학교 도서관 운영 실태에 대한 조사연구
- 로우테크 보조공학 활용을 위한 협력적 팀워크 중재가 지적장애 중학생의 쓰기 명료도와 시간에 미치는 영향
- 운동교육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동작모방능력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 청각장애학교 수업의 언어적 상호작용 특징 분석
-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유형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연구
- 장애 유아의 언어치료서비스에 대한 부모 만족도
- 제7차 개정교육과정 초등학교 교과용도서의 장애관련 내용 분석
- 장애 이해 프로그램 적용이 고등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변화
- 쓰기 저성취 아동의 띄어쓰기 오류 실태 분석
- 일본 드라마 “君の手がささやいてる” 에 나타난 농문화적 관점의 분석
- 통합학급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학교생활 요구 및 만족도 비교 연구
- 동아시아문명론에 의거한 특수교육 본질복원과 교사론의 정립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