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Focused on Consumers and Supplier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박미진 주영하 김기룡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22권 제3호, 171~20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평생교육 주체자인 수요자(참여자), 공급자(수행기관)를 대상으로 집단면담을 실시한 후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여 장애인 평생교육 발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수요자는 장애인과 장애인 부모 9명, 공급자는 수행기관 담당자와 지자체 공무원 8명 등 17명을 대상으로 총 4회에 걸쳐서 초점집단 인터뷰(FGI)를 진행하였고, 연구참여자의 경험을 최대한 구체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연구분석 결과의 타당성을 높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중심주제 2개와 범주 7개, 세부 하위범주 29개(수요자 및 공급자 차이 인식이 각각 7개와 8개, 수요자 및 공급자의 공통된 인식 14개)가 도출되었다. 결론: 장애인 평생교육이 활성화되고 증진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안에서 비장애인과 함께 이루어져야 하고, 전문성을 키우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하며, 실질적인 예산 지원 및 일반평생교육 체계 안에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평생교육의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by analyzing differences in perceptions on lifelong education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Therefore,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consumers (participants) and suppliers (performing organizations) who were the subjects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Method: A total of four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for 17 people, including 9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paren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which were consumers, and 8 persons in charge of the implementing an agency and local government officials, which were suppliers. The study tried to confirm the experienc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as much detail as possible, and through this,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analysis results was improved. Results: The study resulted in 2 main topics, 7 categories, and 29 sub-categories(7 and 8 perceptions of differences between consumers and suppliers, respectively, and 14 common perceptions of consumers and suppliers). Conclusion: In order to promote delete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t should be done with people without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endlessly strive to develop professionalism, and a suppor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within the practical budget support and general lifelong education system. Based on these results, the policy implications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미진,주영하,김기룡. (2020).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22 (3), 171-200

MLA

박미진,주영하,김기룡.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22.3(2020): 171-2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