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적용 실태 및 초등특수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

이용수  6

영문명
The Actual Status of SW-Positive Behavior Support and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최진혁 박재국 김기흥 김은라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22권 제3호, 47~69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적용 실태 및 초등교사와 초등특수교사의 인식을 비교함으로써 향후 통합교육 현장에서 긍정적 행동지원이 활성화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특수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초등특수교사 145명, 초등교사 111명 등 총 256명을 대상으로 긍정적 행동지원 실태 및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긍정적 행동지원 실태를 살펴본 결과, 초등특수교사와 초등교사 모두 빈번한 문제행동유형으로 주의산만행동이라고 응답했다. 문제행동 중재를 위해 도움을 받는 사람은 선배교사였다. 문제행동에 대한 대응 수준에서 ‘문제행동에 대해 혐오자극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항목과 ‘문제행동은 목표달성을 위한 비효과적인 수단임을 주지시킨다’의 항목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초등특수교사와 초등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하위 항목 중 중재지식에 대한 차이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수교사는 경력, 보직여부, 문제행동 중재 및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연수 유무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일반교사는 성별, 경력, 문제행동 중재 및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연수 유무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특수교사와 초등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실행과 인식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the basis for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the field of inclusive education by comparing the status of implementation of PBS and the level of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Metho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145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111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tatus of PBS, bo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sponded with distraction behaviors as a frequent problem behavior type. It was the senior teacher who received help in intervening the problem behavior. At the level of response to the problem behavio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wo items.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PB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in intervention knowledge among the sub-categories was larg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various strategies were proposed to increase the practice and perception on positive behavior support for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진혁,박재국,김기흥,김은라. (2020).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적용 실태 및 초등특수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22 (3), 47-69

MLA

최진혁,박재국,김기흥,김은라.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적용 실태 및 초등특수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22.3(2020): 47-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