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인과 한국어 학습자의 인사 화행 연구
이용수 10
- 영문명
- The Speech Act of Greeting among Koreans and Korean Language Learner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조은주 고은정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60호, 287~322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speech act of greeting performs a phatic function and, therefore, is crucial in fluent communication. For that reason, it is important for L2 learners who study a foreign language to fully understand the subject. However, so far, no systematic research has been conducted with respect to the speech act of greet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oth the speech act of greeting among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hat among Korean native speakers have been rarely studied. While many researchers have attempted to classify and analyze expressions of greeting in Korean language, the majority of them relied on their intuition or unreliable data such as TV shows, and, even if authentic materials were used as data, the studies rarely involved a reliable analysis frame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ypes of strategies used in the speech act of greeting among Koreans, and examine specific expressions in each type of the strategies, which were, then, compared to similar data collected from Korean language learners in order to demonstrate the difference in the speech act of greeting between the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provides systematic classification and examination of strategies and specific expressions used in the speech act of greeting in Korean language, which did not receive much attention in previous research, and also collected authentic data based on a survey. In addition, it demonstrated that there is difference in using the greeting strategies between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and that some specific expressions used by the former include elements that are potentially problematic.
목차
1. 서론
2. 인사 화행의 개념과 한국어 인사 상황 및 전략 분류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 환경에 따른 한국어 접촉 양상이 발음 숙달도 발달에 미치는 영향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동기 구성 요인 연구
- 한국 사립 초교의 몰입교육에 반영된 영어교육 담론의 논증 분석
- 한국인과 한국어 학습자의 인사 화행 연구
- 요구 분석을 통한 중국 대학의 한국어 전공자용 읽기 교재 개발 연구
- 조기영어교육이 7세 아동의 모국어(한국어) 나레이티브에 미치는 영향
- 재미 동포의 언어 정체성과 한국어 능력에 대한 세대별 비교 분석 연구
- 대체(alternative)표현과의 비교대조에 근거한 문법화된 ‘-다니’의 한국어교육문법 기술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어미 사용 양상 연구
- 신문 사설에 나타난 다문화주의의 담론적 양상
- US-based KFL College Students’ Korean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