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동기 구성 요인 연구
이용수 5
- 영문명
- The study on reading motivations of KAP students’ reading activity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전형길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60호, 255~28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components which construct motivations of KAP learners for their reading activity. For this study, totally 196 responses for the questionnaire from Korean learners in country (Korea) or oversea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 reveals that their major reading motivators can be summarized as ‘self-efficacy or utility value’, ‘competition-reward’, ‘integrated motiva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196 subjects for this study can be divided by 4 sub-groups, and each group shows its different dominant reading motivators. Overall, the group in country indicates relatively higher motivation level than overseas group. In both groups, ‘competition-reward’ was the highest reading motivator and ‘integrated motivators’ and ‘academic performance’was relatively lower than other motivating components. It implies that even adult learners tend to prefer immediate reward such as compliments from others to internal reward or academic grade. Overseas group is classified into advanced group before college entrance, undergraduate and graduate group. The learners in undergraduate group demonstrate higher motivation in general. This study encompasses numerous leaners invarious settings as subject who can represent current state of KAP learning environments. The study on reading motivator of KFL learners has been scarce. In particular, there has been little quantitative research with the extensive subjects investigating various components which consist of learner motivation regarding reading activity. In this regard, present study might contribute to fill the gap.
목차
1. 서론
2. 읽기 동기의 관련 요인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및 논의
5.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 환경에 따른 한국어 접촉 양상이 발음 숙달도 발달에 미치는 영향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동기 구성 요인 연구
- 한국 사립 초교의 몰입교육에 반영된 영어교육 담론의 논증 분석
- 한국인과 한국어 학습자의 인사 화행 연구
- 요구 분석을 통한 중국 대학의 한국어 전공자용 읽기 교재 개발 연구
- 조기영어교육이 7세 아동의 모국어(한국어) 나레이티브에 미치는 영향
- 재미 동포의 언어 정체성과 한국어 능력에 대한 세대별 비교 분석 연구
- 대체(alternative)표현과의 비교대조에 근거한 문법화된 ‘-다니’의 한국어교육문법 기술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어미 사용 양상 연구
- 신문 사설에 나타난 다문화주의의 담론적 양상
- US-based KFL College Students’ Korean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