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체(alternative)표현과의 비교대조에 근거한 문법화된 ‘-다니’의 한국어교육문법 기술
이용수 8
- 영문명
- Descriptions of Grammaticalized ‘-dani’ in Perspective of Comparisons with its Alternative Expression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박나리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60호, 87~123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to describe grammaticalized ‘-dani’ which has not been specifically explored in KFL(Korean as a Foreign Language). In peculiar, this study tries to show various functional meanings of ‘-dani’ in perspective of comparisons with its alternative expressions produced by KFL learners. The reason why this research would focus on alternative expression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lternative expressions are so difficult in both teaching and learning. Secondly, alternative expressions can give us insight for learner-oriented grammar education. In order to research alternative expressions of ‘-dani’ from learners’ grammatical appreciations, open-tests reflecting available communication situations related to ‘-dani’ have been made to learners. As a result, learners’ proper or inappropriate appreciations about ‘-dani’ have been revealed. Furthermore, since outstanding tendencies between ‘-dani’ and its alternative expressions could be found out, the descriptions based on comparisons in KFL grammar seem to be possible. These comparisons are to reveal shared parts as well as different parts between ‘-dani’ and its alternative expressions. These comparisons are expected to help learners distinguish ‘-dani’ and its similar expressions in both forms and functions. Also, results which show many learners’ misunderstanding about discourse-pragmatic restraints seems to require more specific descriptions about themselves in grammar because these are relatively complicated than morphological-syntactical restraints.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3. 대체표현과의 비교대조에 근거한 ‘-다니’의 한국어교육 문법 기술
4.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 환경에 따른 한국어 접촉 양상이 발음 숙달도 발달에 미치는 영향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동기 구성 요인 연구
- 한국 사립 초교의 몰입교육에 반영된 영어교육 담론의 논증 분석
- 한국인과 한국어 학습자의 인사 화행 연구
- 요구 분석을 통한 중국 대학의 한국어 전공자용 읽기 교재 개발 연구
- 조기영어교육이 7세 아동의 모국어(한국어) 나레이티브에 미치는 영향
- 재미 동포의 언어 정체성과 한국어 능력에 대한 세대별 비교 분석 연구
- 대체(alternative)표현과의 비교대조에 근거한 문법화된 ‘-다니’의 한국어교육문법 기술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어미 사용 양상 연구
- 신문 사설에 나타난 다문화주의의 담론적 양상
- US-based KFL College Students’ Korean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