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재미 동포의 언어 정체성과 한국어 능력에 대한 세대별 비교 분석 연구

이용수  53

영문명
The generational comparison analysis on the language identity and Korean proficiency of Korean Americans
발행기관
이중언어학회
저자명
원미진
간행물 정보
『이중언어학』제60호, 179~20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language use patterns of Korean-Americans b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1st, 1,5th and 2nd generation in the USA. The data revealed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on the necessity of the language proficiency and the perception on the language identity. Korean Americans perceive the necessity of English proficiency is slightly stronger than the necessity of Korean proficiency. This result reflects that Korean Americans generally put more importance on the language of their residential country and it is not different from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on Korean residents in China and the CIS. However, the percentage of Koreans who perceive Korean language as their mother tongue is higher in the US, comparing to China and the CIS. Therefore, Korean Americans show more positive perception o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an English and American culture. Based on the analysis by the immigrant generation variable, the first-generation immigrants show high proficiency in Korean language in all areas, whereas the second-generation immigrants show the opposite results. For the 1.5th generation immigra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ir Korean and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The variable of the immigrant genera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to the language use of Korean Americans due to the uniqueness of Korean American society where different generations are still residing closely and where there is still active inflow of first-generation immigrants from Korea to the US. This phenomenon is unlike other Korean residents in China and the CIS and will be a positive evidence of maintaining Korean in the USA.

목차

1. 서론
2. 이중 언어 환경에서의 언어 정체성
3. 연구 대상 및 연구 결과
4. 결론 및 남은 문제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원미진. (2015).재미 동포의 언어 정체성과 한국어 능력에 대한 세대별 비교 분석 연구. 이중언어학, (), 179-200

MLA

원미진. "재미 동포의 언어 정체성과 한국어 능력에 대한 세대별 비교 분석 연구." 이중언어학, (2015): 179-2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