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문 사설에 나타난 다문화주의의 담론적 양상
이용수 3
- 영문명
- Discursive Aspects of Multiculturalism in Newspaper Editorial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김현강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60호, 29~5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multicultural discourses of news editorials focusing on discursive aspects of multiculturalism in Korea since 2000. The analysis of multicultural discourses was based primarily on Kymlicka’s approaches to multiculturalism and Castles and Miller’s models of immigrant policies. The tendencies and characteristics of a multicultural discourse can be explained using three types of models: the differential exclusionary model, the assimilationist model, and the multicultural model. The discourse structures of the editorials embody a process of argumentation including circumstantial premises, values, claims and argument. Accordingly, discourse analysis of multicultural discourse reveals various conceptions or views of multiculturalism. The analysis shows that multicultural discourses in Korea have an assimilationist view and focus exclusively on multicultural families. The central claims of these discourses concern accepting immigrants in the name of multiculturalism, but their underlying values advocate assimilating immigrants into Korean culture and society. Korea’s multicultural discourses, therefore, do not accept the idea of multiculturalism but only reflect assimilationist views and treat multicultural issues selectively. Those issues are limited to antiracism and the civil rights of peopl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rather than for immigrants as a whole. In light of other immigration societies’ experiences of conflicts arising from unilateral assimilation, Korea needs to further discuss and carefully reconsider the direction of its multicultural society.
목차
1. 서론
2. 연구대상
3. 이론적 배경
4. 사설에 나타난 다문화주의 담론의 양상
5. 맺음말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 환경에 따른 한국어 접촉 양상이 발음 숙달도 발달에 미치는 영향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동기 구성 요인 연구
- 한국 사립 초교의 몰입교육에 반영된 영어교육 담론의 논증 분석
- 한국인과 한국어 학습자의 인사 화행 연구
- 요구 분석을 통한 중국 대학의 한국어 전공자용 읽기 교재 개발 연구
- 조기영어교육이 7세 아동의 모국어(한국어) 나레이티브에 미치는 영향
- 재미 동포의 언어 정체성과 한국어 능력에 대한 세대별 비교 분석 연구
- 대체(alternative)표현과의 비교대조에 근거한 문법화된 ‘-다니’의 한국어교육문법 기술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어미 사용 양상 연구
- 신문 사설에 나타난 다문화주의의 담론적 양상
- US-based KFL College Students’ Korean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