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yntactic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School-Age Children in Expository Discourse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최지영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3권 2호, 445~46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reports on a syntactic development in expository discourse of two children from family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from the Philippines over three years. An investigation on individual and social factors of the two children has been made to analyze and compare the two children's syntactic development from first grade to third grade of their elementary school years. As a result, two children displayed normal syntactic developmental pattern which average elementary students of that age show while there was some difference in the degree and speed of the development between the two children, and syntactic complexity in expository discourse seemed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academic achievement at school.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hildren appears to have been caused by the quality and quantity of education before they started school because a child who has a marriage migrant woman as his mother is usually hard to get enough and complete expository discourse input in Korean. This result suggests that children from family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should be exposed to enough amount of Korean discourse by a teacher in a public area even before they go to school.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결과 및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온라인 속담 강의 개발 연구
- 한국어 복문 사용 능력 향상을 위한 문법 교육에 대한 연구
- 말하기 수행 평가에서 발음 범주 채점의 최적화 방안 연구
- 다문화가정 아동의 원인관계 연결어미 습득 양상 연구
- 해외에서의 아동 대상 한국어교육의 쟁점과 과제
- 한국어 학습자의 귀인성향,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 관계 분석
- 한글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 다문화 가족 아동의 한국어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 의성어․의태어를 활용한 여성결혼이민자의 자녀 교육 방안 연구
- 다문화가정 아동의 설명담화 구문발달 양상
- Effects of Language Anxiety on Three Levels of Classe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 및 연계학문적 특성 연구
- 문학 정전을 통한 한국 문화 및 한국학 교수 방안에 대한 연구
-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 조사와 말레이시아어 전치사의 의미와 기능의 대조 연구
- 한국어 교육에서 트위터(Twitter) 사용의 교육적 효과
-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항목별 세부사항 발달 양상 연구
- 중국인 학습자의 언어간 영향과 교수방안
- 베트남 이주노동자 가정 자녀와 한국 가정 아동의 이야기 만들기에 나타난 통사적 숙달도 비교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