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influencing variables for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Korean proficiency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경령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3권 2호, 1~37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social variables which influenc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in Korea. 197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ve a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 participated for this study. Subjects participated for Korean accuracy test and answered survey questionnaire. In order to get a reliability and credibility, pretest was activated. Findings are as below. First, among various social variables, role of Korean father seems to be very important to increase children's Korean language acquisition. Second, Specialized teachers who were sent by the Korean government for multicultural family were very helpful for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Third, children who have active interaction with family members, school friends and people meeting at religious place shows high level of Korean proficiency. Fourth, immigrant mother's language background influenced to children's language accuracy. Both immigrant mother and children share similar tendency making error at similar grammatical categories. Fifth, code switching did not influence to increase or decrease language accuracy.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3. 연구 방법
4.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온라인 속담 강의 개발 연구
- 한국어 복문 사용 능력 향상을 위한 문법 교육에 대한 연구
- 말하기 수행 평가에서 발음 범주 채점의 최적화 방안 연구
- 다문화가정 아동의 원인관계 연결어미 습득 양상 연구
- 해외에서의 아동 대상 한국어교육의 쟁점과 과제
- 한국어 학습자의 귀인성향,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 관계 분석
- 한글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 다문화 가족 아동의 한국어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 의성어․의태어를 활용한 여성결혼이민자의 자녀 교육 방안 연구
- 다문화가정 아동의 설명담화 구문발달 양상
- Effects of Language Anxiety on Three Levels of Classe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 및 연계학문적 특성 연구
- 문학 정전을 통한 한국 문화 및 한국학 교수 방안에 대한 연구
-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 조사와 말레이시아어 전치사의 의미와 기능의 대조 연구
- 한국어 교육에서 트위터(Twitter) 사용의 교육적 효과
-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항목별 세부사항 발달 양상 연구
- 중국인 학습자의 언어간 영향과 교수방안
- 베트남 이주노동자 가정 자녀와 한국 가정 아동의 이야기 만들기에 나타난 통사적 숙달도 비교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