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공 수업 비평 과제 수행에 나타난 인지 과정 분석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n the Cognitive Process in the Critical Reaction Papers of a Major Course in College: Based on Comparison with the Writings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Korean Student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인혜 임형옥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30권 2호, 215~24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aims to study the cognitive process of critical reaction papers and to suggest pedagogical implications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at universities in Korea. The reaction papers submitted by 60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major undergrad stud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gnitive hierarchy of the revised Bloom’s taxonomy. The analysis indicates the followings: (1) the papers of international students were mostly at the low scored level, and a few papers were at the mid scored level; (2) the low-level papers of the international students were mainly at the understand level showing the ability to summarize main points of the source article and to express impressions on the source article. However, it shows frequent spelling errors, word choice errors, and misunderstandings of source article; (3) the mid-level scored papers of the international students were mainly at the apply level showing the ability to make explicit links between the source article and their paper; (4) the high scored papers were mainly at the analyze level and some papers were at the evaluate level showing the ability. However, none of the papers of the international students were at those levels of a cognitive process. The results show that researchers and educators in college need to develop the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to improve the critical writings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목차
1. 서론
2. 외국인 유학생의 작문 과제 수행
3. 연구 방법
4. 국어국문학 전공 수업 비평 과제의 인지 과정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웹 기반 텍스트 복잡성 자동 측정 프로그램 개발
- 한국어 화용 능력 평가를 위한 하위 평가 범주의 설정 연구
-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외래어 능력에 미치는 요인
-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전략 사용 양상에 대한 사례 연구
- 초보 한국어 교사가 수업에서 겪는 문제의 인식과 해결 과정
- 외국인 학부생을 위한 인용하기 교육의 효과 연구
- KSL 아동의 연결어미 발달 양상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일상적 대화 구성에 관한 연구
- 세종학당 표준 교육과정 운영 재정비 연구
- 다문화 배경 학습자 대상의 언어 교육 정책 변화 경향성 분석
- 전공 수업 비평 과제 수행에 나타난 인지 과정 분석 연구
- 개념적 은유와 영상도식을 활용한 연어의 의미교육 지침 방안
- 한국어 말하기 평가 맥락에서 사회언어적 능력 측정 방안 연구
- 이주민 대상 정책도구로 사용되는 한국어시험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