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 배경 학습자 대상의 언어 교육 정책 변화 경향성 분석
이용수 24
- 영문명
- Analysis on Changes of Language Education Policies and Tendencies toward Students Learning Multi-cultural background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노정은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30권 2호, 25~5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ndencies on how language education policies for students learning multi-cultural backgrounds have been changed and to seek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afterwards. For doing this, this study examined France and Japan and America and Australia in order to figure out how foreig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for them have been enforc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The language education for students learning multi-cultural backgrounds have started over a decade in the Korea society. Examining how language education policies have been changed can be a reference material to seek for tendencies on how language education policies should be developed. Flows of them from 2006 when multi-cultural education plans are presented to 2019 were divided into four periods and this study examined its flows. The first period was a beginning period(2006 to 2008) when there were interests in education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education started in each school unit and seeking for the support direction in Office of Education were main. The second period was a preparation period(2009 to 2011) to seek for tendencies of standardized Korean education and to materialize the support system of Korean education under mid and long term plans. The third period was a development period(2012 to 2016) when the state-dominated standardized Korean (KSL) education course was notified and standard textbooks were developed and supplied. Thefourth period was an advanced period(2017 to present) whennotification on the revised education course and textbook revisionand study capability reinforcement and expansion of multi-culturaleducation were strengthened. As this study examined these flows,it will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n how education policiesincluding language education for students learning multi-culturalbackgrounds should be enforced.
목차
1. 서론
2. 해외 다문화 배경 학습자 대상의 언어 교육 정책
3. 국내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언어 교육 정책의 흐름
4. 발전 방향 모색
5. 결론
참고문헌
참고자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웹 기반 텍스트 복잡성 자동 측정 프로그램 개발
- 한국어 화용 능력 평가를 위한 하위 평가 범주의 설정 연구
-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외래어 능력에 미치는 요인
-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전략 사용 양상에 대한 사례 연구
- 초보 한국어 교사가 수업에서 겪는 문제의 인식과 해결 과정
- 외국인 학부생을 위한 인용하기 교육의 효과 연구
- KSL 아동의 연결어미 발달 양상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일상적 대화 구성에 관한 연구
- 세종학당 표준 교육과정 운영 재정비 연구
- 다문화 배경 학습자 대상의 언어 교육 정책 변화 경향성 분석
- 전공 수업 비평 과제 수행에 나타난 인지 과정 분석 연구
- 개념적 은유와 영상도식을 활용한 연어의 의미교육 지침 방안
- 한국어 말하기 평가 맥락에서 사회언어적 능력 측정 방안 연구
- 이주민 대상 정책도구로 사용되는 한국어시험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