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말하기 평가 맥락에서 사회언어적 능력 측정 방안 연구

이용수  55

영문명
A study on sociolinguistic competence as a construct of Korean speaking test
발행기관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저자명
강현주
간행물 정보
『한국어교육』30권 2호, 1~2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takes position that speaking test should take account of context and concrete interlocutors of speaking task because people normally speak not in a vacuum but with real interlocutors and concrete purpose. Therefore the results of speaking test could predict test takers deal with real situation with sociolinguistic ski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onstruct of sociolinguistic competence analyzing discourse made by different level of proficiency in Korean. The speech act in this study is ‘apologize’ and ‘request’ which is relatively uncomfortable than other speech acts. As a result beginners could not use proper title of interlocutors and preliminaries to mitigate the burden of making a request and apologize. However advanced learners of Korean call interlocutors with proper name and they can put preliminaries before they say what they want. This study prove that those two items could have possibility to be the constructs of speaking tests. There should be more study to back up this results to be solid construct of speaking tests in the futur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한국어 학습자의 사회언어적 능력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현주. (2019).한국어 말하기 평가 맥락에서 사회언어적 능력 측정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 30 (2), 1-23

MLA

강현주. "한국어 말하기 평가 맥락에서 사회언어적 능력 측정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 30.2(2019): 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