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개별화교육계획 실행을 통한 평가와 지원요구에 대한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의 인식

이용수  0

영문명
Recognition of Evaluation through Implementation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 and Support Needs of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이태형 홍정숙 이율리 홍진희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24권 제3호, 245~27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에 대한 심층면담을 통해 통합학급교사들이 인식하는 개별화교육계획 실행을 통한 평가와 지원요구에 대해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질적연구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 13명을 연구참여자로 하여 개별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각 면담은 약 1시간 정도 소요되었으며 면담 후 전사된 자료는 지속적 비교 분석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16개의 하위주제, 6개의 주제, 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주제는 다음과 같다. (1) 개별화교육계획 수립을 통한 평가 방법 개선에 대한 인식, (2) 개별화교육계획 수립을 통한 형식적 평가 실태 개선, (3) 나이스 개별화교육계획 시스템 활용에 대한 인식, (4) 협력적 환경 조성, (5) 다양한 평가 자료의 지원, (6) 전문성 함양을 위한 지원. 결론: 연구결과에서 도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평가를 개선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n the evaluation and support needs for the improvement of the evaluation metho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 of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Method: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irteen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as the research participants. Each interview took about one hour, and the transcribed data were analyzed after the interviews according to the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method. Results: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ixteen sub-themes, six themes and two categories were derived, and the themes are as follows: (1) Awareness of improvement of evaluation methods through establishment of an inclusive education plan, (2) Improving the status of formal evalua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 (3) Awareness of the use o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4) Creating collaborative environments, (5) Support for various evaluation materials, (6) Support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Conclusion: Based on the contents derived from th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the evaluation methods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of inclusive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태형,홍정숙,이율리,홍진희. (2022).개별화교육계획 실행을 통한 평가와 지원요구에 대한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의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24 (3), 245-272

MLA

이태형,홍정숙,이율리,홍진희. "개별화교육계획 실행을 통한 평가와 지원요구에 대한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의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24.3(2022): 245-2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