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일제 특수학급 운영에 대한 중등 특수교사의 인식과 요구
이용수 0
- 영문명
-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wareness and Requirements for Full-Time Special Class Management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임효경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4권 제3호, 185~21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중등 특수교사들의 전일제 특수학급 운영 과정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결과를 공유하고 효율적인 전일제 특수학급 운영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로 진행하였으며, 경력 18년 이상의 중등 특수교사 4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 면담과 관찰, 전일제 특수학급 관련 문서 및 문헌들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일제 특수학급은 공식적, 비공식적 또는 정기적, 비정기적인 형태로 운영되고 있었다. 둘째, 학생들이 전일제 특수학급 교육을 받게 된 이유는 학생 의지, 문제행동, 통합학급 교사들의 지도력 부족과 비협력적 태도, 학부모의 요구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일제 특수학급 담당 교사들은 제한된 교육환경에서 학생의 교육을 혼자 담당하는 것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을 느끼고 있었다. 넷째, 통합학급 교사들은 전일제 학생 지도를 위해 협력적이거나 비협력적인 태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전일제 특수학급 학생들은 비장애 학생들과 상호작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전일제 특수학급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근거 자료를 만들고 회의를 통해 필요한 지원을 결정해야 하며, 1인 체제로 운영하는 경우, 교내외 지원인력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리자와 동료 교사들을 함께 고민하는 존재로 인식하고 정보를 공유하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전일제 특수학급 운영과 관련된 특수교사의 역할 및 지원영역에 관한 논의와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experienced teachers in the full-time special class management.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phenomenological study by selecting four middle and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 research participants. Results: Full-time special classes were managed in various forms. Second, students stayed in full-time special classes were due to student willingness, problematic behavior, lack of leadership and non-cooperative attitudes of teachers in charge of inclusive classes, and the demands of parents. Third, full-time special class teachers had the psychological burden of being in charge of student education alone in limited educational environments. Fourth, teachers in inclusive classrooms showed cooperative or non-cooperative attitudes towards full-time student guidance. Lastly, in order to operate a full-time special class, it was necessary to prepare supporting data, decide on the support necessary through a meeting, and utilize the supportive manpower.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role and support area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full-time special class operation were discussed, and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대학(원)생 당사자의 교육 활동 지원 사업 참여 경험과 지원요구
- 균형적 언어교수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 조작활동과 수학동화를 활용한 뇌 기반 도형학습 프로그램이 경계선 지능아동, 학습장애 아동의 뇌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
- 성인장애인의 학력보완교육 참여 동기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 미래지향적 특수교사 역량 척도 개발 기초 연구
- 발달장애청소년 자립역량 지원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
- 전일제 특수학급 운영에 대한 중등 특수교사의 인식과 요구
- 직업프로그램이 고등학교, 전공과 발달장애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응능력에 미치는 영향
- 개별화교육계획 실행을 통한 평가와 지원요구에 대한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의 인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