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육에서 사회인지 증진을 위한 문화학습의 모델링 및 유용성 확인
이용수 0
- 영문명
- Modeling and Usefulness Confirm of Cultural Learning for Social Cognition Enhancement in Speci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정숙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4권 제2호, 29~5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영역에서 장애아동의 사회인지 증진을 위한 문화학습의 모델을 구축하고 그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먼저, 문화학습의 모델링을 위해 다양한 관련 학문 및 이론들을 토대로 한 간학문적 관점에서 문화학습 모델을 분석하고자 하였고, 장애아동 6명을 대상으로 하여 현상학적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문화학습 모델은 각각 모방, 협력, 유도의 하위 의미를 가지는 개인, 공동, 집단 지향성의 중층적 모델로 구축되었고, 그 유용성의 확인을 위해 문화학습 모델을 중심으로 수행한 질적 분석에서는 3개의 중심의미(나, 감성의 경험적 일반화, 문화와 이타심, 사회로의 나)와 10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구체화된 문화학습의 모델은 장애아동이 사회적 편견을 넘어 정상적 구성원으로 자리 잡도록 돕는 일에 중요한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model of cultural studies for improving the social cogni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and to verify its usefulness. Method: First, for modeling cultural studies, a cultural studies model was analyzed from an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based on various related studies and theories, and qualitative analysis of phenomenological experiences was performed on 6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sults: The cultural studies model was built as a layered model of individual, shared, and collective intentionality with sub-meanings of imitation, cooperation, and induction, respectively. Three central meanings(the self, empirical generalization of emotions, culture and altruism, and the self to society) and 10 themes were derived. Conclusion: The statement seems to imply that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at fault for facing social prejudice and the problem of social prejudice against children with disabilities can be solved by them receiving cultural studies.
목차
Ⅰ. 서론
Ⅱ. 문화학습의 모델링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아전문어린이집 원장의 영유아중심·놀이중심 보육과정 운영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중국 초등특수학교의 부모참여 실태 및 부모참여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조사
- 일반학교 전공과 지적장애 학생의 학교생활 경험
- 아동작업치료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 활동이 비장애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형제자매를 둔 비장애형제자매를 위한 학업적, 심리·정서적, 진로적 지원 탐색
- 특수교육에서 사회인지 증진을 위한 문화학습의 모델링 및 유용성 확인
- 특수학급 교사의 임파워먼트 및 전문성 인식이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과 조절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