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아전문어린이집 원장의 영유아중심·놀이중심 보육과정 운영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Narrative Inquiry on the Experience of Implementing Child-and-Play-Centered Care by the Director of Specialized 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오미나 이현정 정애련 조경희 조현정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4권 제2호, 149~17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영유아중심, 놀이중심의 보육과정을 실천한 장애아전문어린이집 원장들의 운영경험을 통해 실현가능성과 적용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9년 12월부터 2022년 2월까지 약 15개월간 2명의 장애아전문어린이집 원장을 대상으로 개별면담, 회의록, 메모, 개인 저널을 분석한 내러티브 탐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참여자들의 내러티브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일곱 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놀이 중심의 벽에 마주하다, 둘째, 놀이지원을 위한 고민을 담다, 셋째, 장애영유아의 놀이에서 놀이권을 찾다, 넷째, 실현가능성을 향해 시작하다, 다섯째, 교사들의 변화를 이끌어내다, 여섯째, 놀이를 다시 바라보다, 일곱째, 모두 행복함을 찾다. 결론: 장애아전문어린이집 원장들의 경험을 통해 장애영유아에게도 영유아중심·놀이중심의 보육과정 적용의 실현가능성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이를 위해서는 주의 깊은 관찰과 원장-교사와의 영유아중심·놀이중심의 보육운영을 위한 협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추후 통합환경에서 장애영유아를 위한 영유아중심·놀이중심의 보육과정을 실천하고 있는 연구의 필요성이 시사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easibility and application methods the operational experiences of directors of specialized 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practiced child-and-play-centered curriculum. Method: A narrative inquiry was conducted on two directors of specialized 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r about 15 months from December, 2019 to February, 2022 by analyzing individual interviews, meeting minutes, memos, and personal journals. Results: The following seven themes were derived from analysis of the subjects' narrative data: (1) facing the wall of the play-centered curriculum; (2) concerns for play support; (3) finding the right of play in the activit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4) a start towards feasibility; (5) inducing changes in teachers; (6) revisiting play; and (7) achieving happiness for all. Conclus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directors of specialized 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applying the child-and-play-centered curriculum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this end, it was found that careful observation of and cooperation with the director-teacher for the application child-and-play-centered curriculum were necessary. In the future, the need for research that implements the child-and-play-centered curriculu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daycare centers is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아전문어린이집 원장의 영유아중심·놀이중심 보육과정 운영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중국 초등특수학교의 부모참여 실태 및 부모참여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조사
- 일반학교 전공과 지적장애 학생의 학교생활 경험
- 아동작업치료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 활동이 비장애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형제자매를 둔 비장애형제자매를 위한 학업적, 심리·정서적, 진로적 지원 탐색
- 특수교육에서 사회인지 증진을 위한 문화학습의 모델링 및 유용성 확인
- 특수학급 교사의 임파워먼트 및 전문성 인식이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과 조절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