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 활동이 비장애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 of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Activities Using Disability-Related Picture Books on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Preschool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toward those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임효종 김자경 강혜진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4권 제2호, 53~7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 활동이 비장애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P시에 위치한 J 유치원에 소속된 일반학급의 만 4세 유아 48명으로, 실험집단은 A반 비장애유아 24명, 통제집단은 B반 비장애유아 24명으로 구성했다. 중재는 장애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 활동으로 실험집단에게 주 1회씩 10주간 10회기 실시하였다.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했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 활동으로 비장애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 변화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장애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 활동으로 비장애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태도 변화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비장애 유아들이 장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태도를 지닐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장애이해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activities using disability-related picture books on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preschool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toward those with disabilitie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8 4-year-old preschoolers without disabilities from a general class belonging to J Kindergarten located in P city.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24 children in class A,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24 children in class B.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activities using disability-related picture books were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in 10 sessions for 10 weeks, once a week.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ctivities. Results: First,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perception of preschoolers without disabilities toward those with disabilities. Through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activities using disability-related picture book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titude change of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toward those with disabilities through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activities using disability-related picture book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ystematic and continuous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is necessary so that preschool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can have positive perceptions and attitudes about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아전문어린이집 원장의 영유아중심·놀이중심 보육과정 운영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중국 초등특수학교의 부모참여 실태 및 부모참여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조사
- 일반학교 전공과 지적장애 학생의 학교생활 경험
- 아동작업치료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 활동이 비장애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형제자매를 둔 비장애형제자매를 위한 학업적, 심리·정서적, 진로적 지원 탐색
- 특수교육에서 사회인지 증진을 위한 문화학습의 모델링 및 유용성 확인
- 특수학급 교사의 임파워먼트 및 전문성 인식이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과 조절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