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도시 디자인 속성이 도시 이미지 메이킹 요인인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An Empirical Study on the City Design Attributes influencing the Attractiveness of City Image Making
발행기관
국제지역학회
저자명
이인수(insu lee)
간행물 정보
『국제지역연구』제16권 제4호, 545~57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디자인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도시 디자인 속성이 도시 이미지 메이킹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집필되었다. 독립변수인 도시 디자인 속성은 일반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논리정립과 선행연구자들의 공통된 변수들을 기준으로 하여 선택하였고 또한 도시 이미지 메이킹 요인 중에서 종속변수로서는 호감도를 선택하여 이들의 인과관계를 실증분석하였다. 디자인 학계에서는 수많은 경험적 연구 즉, 사례분석이 주종을 이루고 있음에도 이러한 기존의 경험 연구를 학술적으로 뒷받침하는 이론 연구의 노력이 매우 부족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해당 논문은 사례분석 이전에 연구되어야 하는 일반적이고 추상적인 현상을 다루는 이론연구임을 밝힌다. 모든 사례연구들을 총괄하는 추상적 의미의 개념간 실증분석을 시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도시 디자인 속성 요인들이 실증적으로 도시 이미지 메이킹 요인 중에서 호감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가를 분석함으로써 도시 디자인 전문가들이 인정하는 도시 디자인 속성과 호감도와의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려는 것이다. 분석 결과를 부분적으로 설명하면, 호감도로 대변되는 도시 이미지 메이킹을 제고하기 위하여 한국의 도시 디자인 전문가들은 형태성, 상징성 그리고 지표성 요인을 가장 중요한 변수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written for analyzing what the most significant elements of city design attributes are and what the ones of attractiveness among the factors of city image making are in the field of city design in Korea. Therefore, the essenti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empirically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of between the city design attributes and the attractiveness factor of city making. Especially, the abstract and general concept are focused for the better academic efficiency of the research, This is not the study related with the cases. Being familiar, this study is organized in two stages. First, the study model is framed by reappraising relevant theories, previous studies and the current city design trend. Second, the survey of the city design specialists practicing in Korea is implemented by collecting questionnaires. SPSS 12.0 for windows is being activated for correlation, reliability, validity and multi regression with stepwise is utilized for testing the hypotheses. In conclusion partially, for better city design making based on attractiveness, Korean city design specialists are proved to activate the factors of form, symbolism and indication.

목차

Ⅰ. 서론
Ⅱ. 관련 이론 정립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실증분석 모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인수(insu lee) . (2012).도시 디자인 속성이 도시 이미지 메이킹 요인인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 국제지역연구, 16 (4), 545-573

MLA

이인수(insu lee) . "도시 디자인 속성이 도시 이미지 메이킹 요인인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 국제지역연구, 16.4(2012): 545-5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