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의 MBTI선호지표에 따른 죽음에 대한 태도와 죽음대처 유능감

이용수  502

영문명
Attitudes towards Death and Death Competency according to MBTI Preference Indicator of Nursing Stud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손정아(Son, JungA) 김주연(Kim, JuYeu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4호, 755~767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7.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MBTI 선호지표에 따른 죽음에 대한 태도와 죽음대처 유능감의 차이를 파악하고, 간호대학생의 죽음대처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임종환자 간호를 위한 교육과정 및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방법 간호대학생 224명을 대상으로 2022년 5월1일부터 20일까지 공인된 심리상담사를 활용하여 MBTI성격유형 검사를 실시하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MBTI자가채점 결과를 포함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와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다. 결과 MBTI선호지표 별 죽음에 대한 태도와 죽음대처 유능감의 차이는 직관형(N)과 감정형(F)이 죽음공포가 높았고, 외향형(E)이 접근적 수용의 태도와 죽음대처 유능감이 높았다. 죽음대처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죽음경험, 외향성(E) 선호, 죽음에 대한 중립적 수용태도와 접근적 수용태도로 확인되었다. 결론 간호대학생의 죽음대처에 필요한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육과정 개발과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또한 간호대학생의 심리적, 영적 적응을 강화하기 위해 성격특성을 파악하고 주기적 심리상담과 훈련기회를 제공하여 효과적으로 자기감정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dentify differences attitude toward death and death competency according to MBTI preference indicator of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death competency. Methods MBTI personality test was conducted on 224 nursing students using certified psychological counselors. Data including MBTI self scoring results were collected online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May 1 to 20, 2022.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22.0. Results The difference between attitude toward death and death competency according to MBTI preference indicator was that the iNtuition(N) and feeling(F) had a higher fear of death, and the extraversion(E) had a higher approach acceptance and death competency. Factors affecting the death competency were death experience, extraversion(E), neutral acceptance, and approach acceptance.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rriculum and apply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o tha nursing students can improve the death competency. In addition, in order to strengthen psychological and spiritual adaptat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provide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training opportunities to effectively control one’s emo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정아(Son, JungA),김주연(Kim, JuYeun). (2022).간호대학생의 MBTI선호지표에 따른 죽음에 대한 태도와 죽음대처 유능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4), 755-767

MLA

손정아(Son, JungA),김주연(Kim, JuYeun). "간호대학생의 MBTI선호지표에 따른 죽음에 대한 태도와 죽음대처 유능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4(2022): 755-7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