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의 MBTI선호지표에 따른 죽음에 대한 태도와 죽음대처 유능감
이용수 502
- 영문명
- Attitudes towards Death and Death Competency according to MBTI Preference Indicator of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손정아(Son, JungA) 김주연(Kim, JuYe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4호, 755~76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MBTI 선호지표에 따른 죽음에 대한 태도와 죽음대처 유능감의 차이를 파악하고, 간호대학생의 죽음대처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임종환자 간호를 위한 교육과정 및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방법 간호대학생 224명을 대상으로 2022년 5월1일부터 20일까지 공인된 심리상담사를 활용하여 MBTI성격유형 검사를 실시하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MBTI자가채점 결과를 포함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와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다.
결과 MBTI선호지표 별 죽음에 대한 태도와 죽음대처 유능감의 차이는 직관형(N)과 감정형(F)이 죽음공포가 높았고, 외향형(E)이 접근적 수용의 태도와 죽음대처 유능감이 높았다. 죽음대처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죽음경험, 외향성(E) 선호, 죽음에 대한 중립적 수용태도와 접근적 수용태도로 확인되었다.
결론 간호대학생의 죽음대처에 필요한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육과정 개발과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또한 간호대학생의 심리적, 영적 적응을 강화하기 위해 성격특성을 파악하고 주기적 심리상담과 훈련기회를 제공하여 효과적으로 자기감정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dentify differences attitude toward death and death competency according to MBTI preference indicator of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death competency.
Methods MBTI personality test was conducted on 224 nursing students using certified psychological counselors. Data including MBTI self scoring results were collected online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May 1 to 20, 2022.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22.0.
Results The difference between attitude toward death and death competency according to MBTI preference indicator was that the iNtuition(N) and feeling(F) had a higher fear of death, and the extraversion(E) had a higher approach acceptance and death competency. Factors affecting the death competency were death experience, extraversion(E), neutral acceptance, and approach acceptance.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rriculum and apply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o tha nursing students can improve the death competency. In addition, in order to strengthen psychological and spiritual adaptat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provide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training opportunities to effectively control one’s emo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교사의 수업지도안에 대한 피드백 내용 분석
-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간호대학생의 MBTI선호지표에 따른 죽음에 대한 태도와 죽음대처 유능감
- 영어 학습자 불안 연구
- 대학생의 대처유연성과 주도적 대처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 세계 시민성 함양을 위한 예술적 시민 교육 방안 탐색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도박행동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꿈사다리 장학생 성장기록 연구
- 군 병사가 지각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 이북 김형직사범대학의 외국인 대상 ≪조선어강독≫ 교재의 표현 항목 연구
- 간호대학생의 성희롱 예방교육 수행의 효과
- 수학 수업 계획과 실행에서 교육과정 주목하기와 수학교수 지식과의 관계
- 영화 미디어 리터러시를 통한 만학도의 창의성과 삶의 의미 탐색
- 고등학생의 행복에 대한 귀인 요인 분석
- 공립대안학교의 성공적 설립 요건에 관한 사례연구
- 빅데이터를 통해 살펴 본 유아교사 역량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분석
- 부모의 양육스타일, 학업성취압력이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화상 수업에서의 앱 도구 사용에 관한 파일럿(pilot) 연구
-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 학교풍토가 교사소진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상황에서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경험과 보육실습에 대한 원장의 생각
-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Application of the HESQUAL Model as an Evaluation Tool for Teaching and Administration Service Quality in Chinese Higher Education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14호 목차
- 대학생의 학업부진 및 중도탈락에 관한 국내연구 동향 및 교육적 지원방법 고찰
- 청소년 체험활동, 자아존중감과 학업무기력의 관계
- 미혼모 가정 아동의 심리 발달에 대한 고찰과 치료적 제언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지각양상 연구
- 의과대학생들의 공감능력에 따른 잠재집단 유형과 학습소진, 삶의 질, 자존감과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대학생의 신체활동, 흡연, 음주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 COVID-19로 인한 간호대학생의 비대면 수업에서 노트필기 과제 참여 경험
- An Empirical Study on Improving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 Level: Based on Advanced Mathematics in China
- 완벽주의 군집별 실패내성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을 위한 프로티언 경력 지향 진로상담 프로그램 개발
-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내 환경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 보육교사 인성 관련 연구의 메타분석
- 노인학습자를 위한 평생교육 학습튜터 챗봇의 학습설계 전략에 관한 탐색 연구
- 예수의 교육관 탐색 연구
-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정서지능 및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 연구
- 중등 STEAM 연구 동향 분석
- 대학생의 창의역량 함양을 위해 개발된 교양강좌의 효과분석
- 프로젝트기반 학습이 간호대학원생의 학습목표 성취역량에 미치는 효과
- 유아코딩교육 실제와 미래에 대한 고찰
- 부모의 조건부 관심철회가 기본심리욕구를 매개로 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발표와토론』 온라인 수업에서 교수 실재감 및 학습 실재감이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중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기능성 밸런스 운동이 야구선수의 균형능력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육아종합지원센터의 보육교사 대상 실시간 비대면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직업정체성과 조직몰입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동료교사 및 관리자 신뢰의 매개효과
- 전문대학 어문학전공 교육의 개선 방안 연구
- 대학생의 행복감, 자아존중감, 인권의식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노래놀이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 초등학생의 추론적 이해와 독서 활동 및 태도와의 관계
- 유아의 놀이 자발성과 사회적 관계 행복감이 유아 놀이에 대한 집중에 미치는 영향
- 초등교사 발달과정에서의 좌절 극복 경험 탐색
- 대학생의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실태 및 인식에 대한 사례 연구
- 어린이집 원장이 생각하는 보육교사 휴게시간 운영의 의미와 고충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