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OVID-19로 인한 간호대학생의 비대면 수업에서 노트필기 과제 참여 경험
이용수 218
- 영문명
- Nursing Students' Experience of Concurrent Non-face-to-face Learning and Note-taking Tasks during COVID-19: Focusing on the Human Body Structure and Function Clas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장양민(Yang-Min Jang) 허명륜(Myoung-Lyun He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4호, 77~8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비대면 수업과 노트필기 과제를 병행 적용한 인체구조와 기능 수업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시도한 질적연구이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인체 구조와 기능 수업을 수강한 학생 중 스스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간호학과 1학년 학생 8명으로, 2020년 12월부터 2021년 1월까지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귀납적 내용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편리하지만 불안한 비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에서 노트필기의 학습 효과’의 주요 주제가 도출되었고, ‘편리하지만 불안한 비대면 수업’은 3개의 중심의미(편리함을 경험함, 수업에 대한 집중에 어려움을 느낌, 온라인 소통에서 오는 부족함)와 7개의 주제어(개인 조절, 반복 학습, 시공간 초월, 개인 성향, 환경의 영향, 상호작용, 시스템 통일)가 도출되었으며, ‘비대면 수업에서 노트필기의 학습 효과’는 4개의 중심의미(학업 성취감이 향상됨, 자기주도학습능력이 향상됨을 느낌, 상호작용 과정이 필요함, 개인의 학습 성향에 따른 차이가 존재함)와 12개의 주제어(학습에 대한 흥미, 전공 지식 축적, 성적 향상, 학습 동기 자극, 학습 계획 설정, 학습 방법을 깨달음, 학습 집중력 향상, 교수자의 피드백, 동료와의 상호작용, 시간 소비, 자필에 대한 부담, 학습 동기부여 부족)가 도출되었다.
결론 비대면 수업과 노트필기 과제의 병행 운영은 학습자의 개인 성향에 따른 학습 조절 능력을 보완하는 방안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추후 간호학 전공 기초 교과목의 수업 설계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is a qualitative study to identify the experience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lasses that applied remote learning and note-taking tasks during COVID-19.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ight first-year nursing students taking a class on human body structure and function, who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hich were then analyzed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Results Three central meanings (experiences convenience, feels difficulty concentrating on class, lack of online communication) and seven topic words (individual control, repeated learning, space-time transcendence, individual inclination, environment, interaction, and system unification) were derived from the experience of remote learning. Meanwhile, the effect of note-taking generated four central meanings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improv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need for interactive process, differences depending on individual learning inclination) and 12 topic words (interest in learning, accumulation of major knowledge, improvement of grades, stimulation of learning motivation, setting learning plan, the realization of how to learn, improving focus on learning, Instructor feedback, interaction with colleagues, time consumption, the burden on handwriting, and lack of motivation for learning).
Conclusions Concurrent operation of remote learning and note-taking tasks can be a measure to supplement learning control ability according to the learner's individual inclination, which can be utilized in the design of classes for basic nursing subject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교사의 수업지도안에 대한 피드백 내용 분석
-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간호대학생의 MBTI선호지표에 따른 죽음에 대한 태도와 죽음대처 유능감
- 영어 학습자 불안 연구
- 대학생의 대처유연성과 주도적 대처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 세계 시민성 함양을 위한 예술적 시민 교육 방안 탐색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도박행동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꿈사다리 장학생 성장기록 연구
- 군 병사가 지각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 이북 김형직사범대학의 외국인 대상 ≪조선어강독≫ 교재의 표현 항목 연구
- 간호대학생의 성희롱 예방교육 수행의 효과
- 수학 수업 계획과 실행에서 교육과정 주목하기와 수학교수 지식과의 관계
- 영화 미디어 리터러시를 통한 만학도의 창의성과 삶의 의미 탐색
- 고등학생의 행복에 대한 귀인 요인 분석
- 공립대안학교의 성공적 설립 요건에 관한 사례연구
- 빅데이터를 통해 살펴 본 유아교사 역량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분석
- 부모의 양육스타일, 학업성취압력이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화상 수업에서의 앱 도구 사용에 관한 파일럿(pilot) 연구
-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 학교풍토가 교사소진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상황에서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경험과 보육실습에 대한 원장의 생각
-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Application of the HESQUAL Model as an Evaluation Tool for Teaching and Administration Service Quality in Chinese Higher Education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14호 목차
- 대학생의 학업부진 및 중도탈락에 관한 국내연구 동향 및 교육적 지원방법 고찰
- 청소년 체험활동, 자아존중감과 학업무기력의 관계
- 미혼모 가정 아동의 심리 발달에 대한 고찰과 치료적 제언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지각양상 연구
- 의과대학생들의 공감능력에 따른 잠재집단 유형과 학습소진, 삶의 질, 자존감과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대학생의 신체활동, 흡연, 음주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 COVID-19로 인한 간호대학생의 비대면 수업에서 노트필기 과제 참여 경험
- An Empirical Study on Improving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 Level: Based on Advanced Mathematics in China
- 완벽주의 군집별 실패내성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을 위한 프로티언 경력 지향 진로상담 프로그램 개발
-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내 환경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 보육교사 인성 관련 연구의 메타분석
- 노인학습자를 위한 평생교육 학습튜터 챗봇의 학습설계 전략에 관한 탐색 연구
- 예수의 교육관 탐색 연구
-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정서지능 및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 연구
- 중등 STEAM 연구 동향 분석
- 대학생의 창의역량 함양을 위해 개발된 교양강좌의 효과분석
- 프로젝트기반 학습이 간호대학원생의 학습목표 성취역량에 미치는 효과
- 유아코딩교육 실제와 미래에 대한 고찰
- 부모의 조건부 관심철회가 기본심리욕구를 매개로 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발표와토론』 온라인 수업에서 교수 실재감 및 학습 실재감이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중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기능성 밸런스 운동이 야구선수의 균형능력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육아종합지원센터의 보육교사 대상 실시간 비대면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직업정체성과 조직몰입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동료교사 및 관리자 신뢰의 매개효과
- 전문대학 어문학전공 교육의 개선 방안 연구
- 대학생의 행복감, 자아존중감, 인권의식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노래놀이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 초등학생의 추론적 이해와 독서 활동 및 태도와의 관계
- 유아의 놀이 자발성과 사회적 관계 행복감이 유아 놀이에 대한 집중에 미치는 영향
- 초등교사 발달과정에서의 좌절 극복 경험 탐색
- 대학생의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실태 및 인식에 대한 사례 연구
- 어린이집 원장이 생각하는 보육교사 휴게시간 운영의 의미와 고충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