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대처유연성과 주도적 대처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80
- 영문명
- The Effects of Coping Flexibility and Proactive Coping on Academic Burnout of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현승주(Hyun, Seungju) 이현엽(Lee, Hyunyup) 최윤영(Choi, Yoonyoung) 강성록(Kang, Sungro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4호, 37~5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대처유연성과 주도적 대처가 학업소진을 예측하는지를 검증하였으며, 학업소진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다른 변인들(상태불안, 과경계)을 통제했을 때도 대처유연성과 주도적 대처가 학업소진에 대해서 각각 고유한 설명력을 가지는지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방법 2021년 6월 1일부터 6월 6일까지 약 1주 간 서울, 대전, 부산 소재의 5개 대학교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대학생 232명을 모집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들은 공지된 링크를 접속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1회 실시하였다. 측정된 척도는 대처유연성 척도(COFLEX), 주도적 대처 척도(PCI), 상태⋅특성불안 검사 Y형(STAI-Y), 축약형 과경계 척도(BHS), 한국형 학업소진 척도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상관분석 결과, 학업소진은 통제변인에 해당하는 상태불안 및 과경계, 독립변인에 해당하는 대처유연성 및 주도적 대처 모두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중회귀분석 결과, 대처유연성과 주도적 대처 모두 학업소진에 대한 유의한 예측변인이었으며, 대처유연성과 주도적 대처가 높을수록 학업소진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대처유연성과 주도적 대처는 상태불안과 과경계의 효과를 통제한 후에도 학업소진을 각각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에게 대처유연성과 주도적 대처를 증진시키는 개입이 학업소진 수준을 경감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verified whether college students' coping flexibility and proactive coping predict academic burnout, and additional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coping flexibility and proactive coping predicted academic burnout even when other variables(state anxiety and hypervigilance) known to be related to academic burnout were controlled.
Methods From June 1 to June 6, 2021, 232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the online communities of five universities, and participants accessed the announced link and conducted an online survey once. The measured scales Coping Flexibility Questionnaire (COFLEX), Proactive Coping Inventory (PC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Y (STAI-Y), Brief Hypervigilance (BHS), and Korean Academic Burnout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7.0.
Results First, academic burnou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ontrol variables state anxiety and hypervigilance, and independent variables coping flexibility and proactive coping. Second, both coping flexibility and proactive coping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academic burnout, and the higher the coping flexibility and proactive coping, the lower the level of academic burnout. Third, coping flexibility and proactive coping significantly predicted academic burnout even after controlling the effects of state anxiety and hypervigilance.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erventions that promote coping flexibility and proactive coping in college students can help alleviate the level of academic burnou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교사의 수업지도안에 대한 피드백 내용 분석
-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간호대학생의 MBTI선호지표에 따른 죽음에 대한 태도와 죽음대처 유능감
- 영어 학습자 불안 연구
- 대학생의 대처유연성과 주도적 대처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 세계 시민성 함양을 위한 예술적 시민 교육 방안 탐색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도박행동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꿈사다리 장학생 성장기록 연구
- 군 병사가 지각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 이북 김형직사범대학의 외국인 대상 ≪조선어강독≫ 교재의 표현 항목 연구
- 간호대학생의 성희롱 예방교육 수행의 효과
- 수학 수업 계획과 실행에서 교육과정 주목하기와 수학교수 지식과의 관계
- 영화 미디어 리터러시를 통한 만학도의 창의성과 삶의 의미 탐색
- 고등학생의 행복에 대한 귀인 요인 분석
- 공립대안학교의 성공적 설립 요건에 관한 사례연구
- 빅데이터를 통해 살펴 본 유아교사 역량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분석
- 부모의 양육스타일, 학업성취압력이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화상 수업에서의 앱 도구 사용에 관한 파일럿(pilot) 연구
-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 학교풍토가 교사소진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상황에서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경험과 보육실습에 대한 원장의 생각
-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Application of the HESQUAL Model as an Evaluation Tool for Teaching and Administration Service Quality in Chinese Higher Education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14호 목차
- 대학생의 학업부진 및 중도탈락에 관한 국내연구 동향 및 교육적 지원방법 고찰
- 청소년 체험활동, 자아존중감과 학업무기력의 관계
- 미혼모 가정 아동의 심리 발달에 대한 고찰과 치료적 제언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지각양상 연구
- 의과대학생들의 공감능력에 따른 잠재집단 유형과 학습소진, 삶의 질, 자존감과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대학생의 신체활동, 흡연, 음주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 COVID-19로 인한 간호대학생의 비대면 수업에서 노트필기 과제 참여 경험
- An Empirical Study on Improving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 Level: Based on Advanced Mathematics in China
- 완벽주의 군집별 실패내성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을 위한 프로티언 경력 지향 진로상담 프로그램 개발
-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내 환경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 보육교사 인성 관련 연구의 메타분석
- 노인학습자를 위한 평생교육 학습튜터 챗봇의 학습설계 전략에 관한 탐색 연구
- 예수의 교육관 탐색 연구
-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정서지능 및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 연구
- 중등 STEAM 연구 동향 분석
- 대학생의 창의역량 함양을 위해 개발된 교양강좌의 효과분석
- 프로젝트기반 학습이 간호대학원생의 학습목표 성취역량에 미치는 효과
- 유아코딩교육 실제와 미래에 대한 고찰
- 부모의 조건부 관심철회가 기본심리욕구를 매개로 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발표와토론』 온라인 수업에서 교수 실재감 및 학습 실재감이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중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기능성 밸런스 운동이 야구선수의 균형능력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육아종합지원센터의 보육교사 대상 실시간 비대면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직업정체성과 조직몰입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동료교사 및 관리자 신뢰의 매개효과
- 전문대학 어문학전공 교육의 개선 방안 연구
- 대학생의 행복감, 자아존중감, 인권의식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노래놀이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 초등학생의 추론적 이해와 독서 활동 및 태도와의 관계
- 유아의 놀이 자발성과 사회적 관계 행복감이 유아 놀이에 대한 집중에 미치는 영향
- 초등교사 발달과정에서의 좌절 극복 경험 탐색
- 대학생의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실태 및 인식에 대한 사례 연구
- 어린이집 원장이 생각하는 보육교사 휴게시간 운영의 의미와 고충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International Academic Tribune Vol.2 No.2 Contents
- The Granular Representation of Syntactic Cartography
- A Translation Report on English-Chinese of Smart Thinking (Excerp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