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대처유연성과 주도적 대처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80

영문명
The Effects of Coping Flexibility and Proactive Coping on Academic Burnout of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현승주(Hyun, Seungju) 이현엽(Lee, Hyunyup) 최윤영(Choi, Yoonyoung) 강성록(Kang, Sungro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4호, 37~51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7.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대처유연성과 주도적 대처가 학업소진을 예측하는지를 검증하였으며, 학업소진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다른 변인들(상태불안, 과경계)을 통제했을 때도 대처유연성과 주도적 대처가 학업소진에 대해서 각각 고유한 설명력을 가지는지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방법 2021년 6월 1일부터 6월 6일까지 약 1주 간 서울, 대전, 부산 소재의 5개 대학교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대학생 232명을 모집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들은 공지된 링크를 접속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1회 실시하였다. 측정된 척도는 대처유연성 척도(COFLEX), 주도적 대처 척도(PCI), 상태⋅특성불안 검사 Y형(STAI-Y), 축약형 과경계 척도(BHS), 한국형 학업소진 척도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상관분석 결과, 학업소진은 통제변인에 해당하는 상태불안 및 과경계, 독립변인에 해당하는 대처유연성 및 주도적 대처 모두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중회귀분석 결과, 대처유연성과 주도적 대처 모두 학업소진에 대한 유의한 예측변인이었으며, 대처유연성과 주도적 대처가 높을수록 학업소진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대처유연성과 주도적 대처는 상태불안과 과경계의 효과를 통제한 후에도 학업소진을 각각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에게 대처유연성과 주도적 대처를 증진시키는 개입이 학업소진 수준을 경감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verified whether college students' coping flexibility and proactive coping predict academic burnout, and additional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coping flexibility and proactive coping predicted academic burnout even when other variables(state anxiety and hypervigilance) known to be related to academic burnout were controlled. Methods From June 1 to June 6, 2021, 232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the online communities of five universities, and participants accessed the announced link and conducted an online survey once. The measured scales Coping Flexibility Questionnaire (COFLEX), Proactive Coping Inventory (PC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Y (STAI-Y), Brief Hypervigilance (BHS), and Korean Academic Burnout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7.0. Results First, academic burnou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ontrol variables state anxiety and hypervigilance, and independent variables coping flexibility and proactive coping. Second, both coping flexibility and proactive coping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academic burnout, and the higher the coping flexibility and proactive coping, the lower the level of academic burnout. Third, coping flexibility and proactive coping significantly predicted academic burnout even after controlling the effects of state anxiety and hypervigilance.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erventions that promote coping flexibility and proactive coping in college students can help alleviate the level of academic burnou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현승주(Hyun, Seungju),이현엽(Lee, Hyunyup),최윤영(Choi, Yoonyoung),강성록(Kang, Sungrok). (2022).대학생의 대처유연성과 주도적 대처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4), 37-51

MLA

현승주(Hyun, Seungju),이현엽(Lee, Hyunyup),최윤영(Choi, Yoonyoung),강성록(Kang, Sungrok). "대학생의 대처유연성과 주도적 대처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4(2022): 37-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