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모의 양육스타일, 학업성취압력이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34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yle,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and Life Satisfac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Autonomy and Academic Stres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연은모(Yeon, Eun Mo) 최효식(Choi, Hyosi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4호, 313~328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7.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4학년 시기에 어머니와 아버지가 지각한 양육스타일과 자녀가 지각한 학업성취압력이 초등학교 5학년 시기의 자율성, 학업스트레스를 매개로 삶의 만족도,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11차(2018년), 12차(2019년) 자료의 부모-자녀 1,118쌍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11차(2018년) 자료는 자녀가 초등학교 4학년이 되는 시점이며, 12차(2019년) 자료는 초등학교 5학년이 되는 시점이다. 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측정모형 분석 후 구조모형 분석을 진행하였다. 모수 추정 시 최대우도법(ML), 측정변인의 모형 투입 시 문항 꾸러미(item parceling)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와 아버지가 지각한 권위적, 권위주의적 양육스타일보다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압력이 자율성과 학업스트레스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와 아버지의 권위적, 권위주의적 양육스타일 중 어머니의 권위적 양육스타일만이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학업성취압력은 자율성, 학업스트레스를 매개로 삶의 만족도, 학업성취압력은 학업스트레스를 매개로 삶의 만족도, 학업성취압력은 자율성, 학업스트레스를 매개로 학교적응, 학업성취압력은 학업스트레스를 매개로 학교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및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자녀가 지각한 학업성취압력을 낮춰줌으로써 자율성 욕구 충족 및 학업스트레스 감소를 끌어내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ense of autonomy and academic stress on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ing style and students’ perceived parental academic pressure, school adjustment, and life satisfaction. Methods 1,118 pairs of children and their par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11th and 12nd waves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implemented. Students were in 4th grader in 11th wave and they became 5th grader in 12nd wave.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perceived academic pressure and sense of autonomy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academic stress rather than parenting style. Second, mother's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chool adjustment. Thir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ense of autonomy and academic stress were presented in the relationships among academic pressure,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adjustment.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mportance of helping children to perceive low academic pressure to fulfill sense of autonomy and to lower academic stress in order to encourage their school adjustment and life satisfac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연은모(Yeon, Eun Mo),최효식(Choi, Hyosik). (2022).부모의 양육스타일, 학업성취압력이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4), 313-328

MLA

연은모(Yeon, Eun Mo),최효식(Choi, Hyosik). "부모의 양육스타일, 학업성취압력이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4(2022): 313-3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