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보육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33

영문명
The Effects of Belief in Play and Teaching Efficacy in Play on Teacher-Child Inter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Environment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좌승화(Jwa, Seung Hwa) 신세니(Shin, Se NI) 오정희(Oh, Jung H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4호, 659~67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7.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물리적 환경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B시와 Y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연구목적 및 내용,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동의를 받은 후 2020년 7월부터 8월까지 2개월 동안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물리적 환경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이메일과 우편을 통해 비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264부의 설문지는 기술통계 및 Pearson 적률 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먼저 보육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 물리적 환경,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모든 변인들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 물리적 환경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놀이신념 및 놀이교수효능감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물리적 환경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질을 높이기 위해 인적 환경인 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 뿐만 아니라 질적인 물리적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belief in play, teaching efficacy in pla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pecially,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environment on the relationship among belief in play, teaching efficacy in pla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264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in B and Y province. Questionnaires about belief in play, teaching efficacy in play, physical environmen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were used to collect data through emails and mail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cs, Pearson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d Sobel test for mediating effect.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belief in play, teaching efficacy in play, physical environmen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belief in play, teaching efficacy in play, and physical environment were predictive variables of teacher-child interaction.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environment among belief in play, teaching efficacy in pla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was found to be partially significant. Conclusions This result is meaningful in that physical environment is also important to improve teacher-child interaction besides belief in play and teaching efficacy in pla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좌승화(Jwa, Seung Hwa),신세니(Shin, Se NI),오정희(Oh, Jung Hee). (2022).보육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4), 659-672

MLA

좌승화(Jwa, Seung Hwa),신세니(Shin, Se NI),오정희(Oh, Jung Hee). "보육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4(2022): 659-6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