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정서지능 및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 연구

이용수  570

영문명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interaction, young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go resilience: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ego resilienc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정애(Lee, Jeong A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4호, 113~125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7.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유아 정서지능 및 자아탄력성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J도와 G시 지역의 4-5세 유아 244명과 각 부모 1인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먼저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유아 정서지능 및 자아탄력성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으며 다음으로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유아 정서지능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유아 정서지능 및 자아탄력성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바에 의하면 각각의 변인들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유아 정서지능,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자아탄력성 간에 상관관계가 있고 유아 정서지능과 자아탄력성 간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유아 정서지능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에 의하면, 자아탄력성이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유아 정서지능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자녀 상호작용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결론 결론적으로 유아의 정서지능 및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하여 효과적인 부모-자녀 상호작용에 관한 실질적인 연구가 추후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interaction and young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go resilience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4 children aged 4-5 years and one parent from J province and G city,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child interaction and young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go resilience was examined. Next, the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interaction and young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was analyz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child interaction and young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go resilienc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In other words,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parent-child interaction and young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parent-child interaction and ego resilience, and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young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go resilienc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interaction and young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it was found that ego resilience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interaction and young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This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parent-child interaction not only directly affects the process of influenc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but also indirectly influences it through the medium of ego resilience. Conclusions In conclusion, it suggests that more practical studies on effective parent-child interaction are needed to enhance young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go resilie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애(Lee, Jeong Ae). (2022).부모-자녀 상호작용과 정서지능 및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4), 113-125

MLA

이정애(Lee, Jeong Ae).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정서지능 및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4(2022): 113-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