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과 교사수준 및 학교수준 변인의 관계 - 다층모형 분석의 활용을 중심으로

이용수  4

영문명
The Relationship of the Teacher & School Level Variables of Homeroom Teachers’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for Students with Multiple & Physical Disabilities - Focusing on the Use of Multiple Modeling Analysis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김영한(Kim, Young Han)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4권 제1호, 1~2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1.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그들의 교직적응탄력성과 교사수준 및 학교수준 변인의 관계를 다층모형으로 분석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3개 특수학교에서 중복·지체장애학생을 담임 및 부담임교사 170명을 대상으로 우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 26.0 및 HLM 7.01을 자료분석에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은 학교수준 변인과 교사수준 변인 모두에 의해 차이가 난다. 둘째,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은 학교수준의 변인 중 학교급과 교장 지도성에서 차이가 난다. 셋째,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은 교사수준의 변인 중 교수효능감과 교직헌신에서 차이가 난다. 넷째,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과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교장 지도성은 조절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과 교직헌신의 관계에서 학습환경은 조절효과를 가진다. 결론: 도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육 분야에서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사수준 및 학생수준 변인과 교직적응탄력성의 관계에 대한 교육적인 함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the teacher level and school level variables of homeroom teachers`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for students with multiple and physical disabilities by multiple modeling analysis.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mailed survey was conducted on 170 homeroom teachers for students with multiple and physical disabilities of 23 special schools. Selected data were performed using SPSS 26.0 & HLM 7.01 for window for multi-modeling analysis of 2 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Results: First, the variance explain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 level and also school level. Second, the school level variables, such as the grade, principals leadershi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Thirdly, the teacher level variables, such as teaching efficacy and commit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action effect, principals leadership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and teaching efficacy. And learning enviornment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and commitment. Conclusion: We discussed educational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about the teacher level and school level variables of homeroom teachers`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for students with multiple and physical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한(Kim, Young Han). (2021).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과 교사수준 및 학교수준 변인의 관계 - 다층모형 분석의 활용을 중심으로.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4 (1), 1-28

MLA

김영한(Kim, Young Han).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과 교사수준 및 학교수준 변인의 관계 - 다층모형 분석의 활용을 중심으로."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4.1(2021): 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