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체장애인의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
- 영문명
-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f People with Physically Disabilities on Post-Traumatic Growth : The Moderated Moderation Effects of Depression and Mentalization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김상숙(Kim, SangSook) 우주영(Ju-Young Woo)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4권 제1호, 185~20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1.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외상을 입은 지체 장애인의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우울과 정신화의 값에 따라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외상을 입은 지체장애인 250명을 대상으로 조절된 조절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Mplus 8.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체장애인의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외상 후 성장은 증가하는데 우울함이 증가하면 이러한 영향이 감소하는 2원 상호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정신화 과정이 증가하면 2원 상호효과가 증가하는 조절된 조절 효과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정신화의 크기가 비교적 높은 수준에서는 우울의 2원 상호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우울의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정신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o find out how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n post-traumatic growth of disabled people with trauma affects the value of depression and mentalization. Method: Mplus 8.0 was used to test the modulated modulation effect on 250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suffered trauma. Results: First,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higher the post-traumatic growth, which resulted in a two-way interaction in which this effect decreased as depression increased. Second, the modulated modulation effect, resulting the two-way interaction effect as the mentalization process increases, was identified. At a relatively high level of mentalization, the two-way interaction of depress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It suggests that a high level of mentalization is needed to mitigate the negative effects of depress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체장애인의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중도중복장애 학생 통합교육 경험 및 지원요구
-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과 교사수준 및 학교수준 변인의 관계 - 다층모형 분석의 활용을 중심으로
- 예비특수교사의 교수철학이 모바일 스마트교육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삽입교수를 활용한 AAC 중재가 헌터증후군 중학생의 의사소통 행동과 자발적 발성에 미치는 효과
-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 관련 고충과 지원요구 탐색
- 중도장애학생의 시선을 활용한 과학 체험 활동 가상현실 콘텐츠 개발 및 적용가능성 탐색
- 장애대학생 학업성취 실태분석을 통한 고등교육 지원방안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