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삽입교수를 활용한 AAC 중재가 헌터증후군 중학생의 의사소통 행동과 자발적 발성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7
- 영문명
- The Effects of AAC Intervention using Embedded Instruction on the Communicative Behaviors and Spontaneous Vocalization of a Middle School Student with Hunter Syndrome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최다영(Choi, Da-Young)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4권 제1호, 155~18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1.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헌터증후군 중학생을 대상으로 삽입교수를 활용한 AAC 중재를 실시하여 의사소통 행동과 자발적 발성의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참여자는 만 14세의 헌터증후군 중학생이었으며, 인사하기, 행동조절, 차례주고받기 행도엥 대해 행동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여 의사소통 행동의 변화율과 자발적 발성 비율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의사소통 행동과 자발적 발성 변화를 위한 삽입교수 활용 AAC 중재 적용 결과, 첫째, 참여 학생의 인사하기, 행동조절, 차례 주고받기 행동이 증가하였고, 증가된 수행률은 일반화, 유지되었다. 둘째, 삽입교수를 활용한 AAC 중재를 통해 참여 학생의 자발적 발성 비율이 증가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학교 일과와 활동 중에 삽입교수를 적용한 AAC 중재를 실시하여 헌터증후군 중학생의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퇴행성 질환 학생에게도 AAC 중재가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AAC intervention using embedded instruction on the communicative behaviors and spontaneous vocalization of a middle school student with hunter syndrome. Method: The AAC intervention using embedded instruction was implemented throughout his school routines. The participant was a 14-year-old middle school student with hunter syndrome who has language ability comparable to that of a 7-month-old. The study used a multiple-probe baseline design across three behaviors. The correct responses on communicative function and the responses on spontaneous vocalization were measured during the observation. Results: First, the ratio of the student’s correct responses on the communicative behaviors (greeting, behavior regulation, turn-taking) were increased, generalized and maintained. Second, the amount of the student’s spontaneous vocalization was increased.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about AAC interven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severe genetic disord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체장애인의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중도중복장애 학생 통합교육 경험 및 지원요구
-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과 교사수준 및 학교수준 변인의 관계 - 다층모형 분석의 활용을 중심으로
- 예비특수교사의 교수철학이 모바일 스마트교육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삽입교수를 활용한 AAC 중재가 헌터증후군 중학생의 의사소통 행동과 자발적 발성에 미치는 효과
-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 관련 고충과 지원요구 탐색
- 중도장애학생의 시선을 활용한 과학 체험 활동 가상현실 콘텐츠 개발 및 적용가능성 탐색
- 장애대학생 학업성취 실태분석을 통한 고등교육 지원방안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