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대학생 학업성취 실태분석을 통한 고등교육 지원방안 탐색

이용수  17

영문명
Exploration of Support Measures for Higher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황순영(Hwang, Soon-Young) 차세진(cha sejin) 이후희(Lee HooHee) 이연희(Lee, Yeon-Hee) 조두년(Cho, Doo-Nyun)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4권 제1호, 29~6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1.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성적분포, 학사경고 실태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장애대학생의 학업성취 향상을 위한 개인 내‧외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방법: 국내 4년제 대학 9개교에 재학중인 전체 장애대학생의 3개년에 걸친 실제 성적분포 및 학사경고 현황을 조사‧분석 하였다. 그리고 8명의 장애대학생을 심층면담하여 질적분석을 통해 영향요인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대학생의 성적은 2점대가 46.0%로 가장 많았으며, 변인별로는 사범대학, 시각장애학생의 성적이 가장 높게 났다. 5학기에 걸친 장애대학생의 평균 학사경고율은 6.6%였으며, 학사경고를 가장 많이 받은 변인은 남자(8.7%), 2학년(8.0%), 자연대학(9.2%), 발달장애(14.1%)이었다. 장애대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으로 구분되며, 내적요인은 장애유형별 학업수행의 어려움, 학습 및 시험전략의 부재, 낮은 동기수준이며, 외적요인은 자율적 학사운영, 교수자 적응, 장애학생지원센터의 적응이다. 결론: 기초학력 준비도 향상 교육, 중재반응 차원의 개인중심계획 지원, 장애학생지원센터의 역할 재정립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grade distribu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actual status of academic warnings, and the factor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individual internal and external support measures were sought to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 The actual grade distribution and academic warnings of all students with disabilities enrolled in nine four-year universities in Korea over three year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addition, eight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interviewed in-depth to derive the factors of influence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The highest grades of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in the 2 point range(46.0%). By variable, the grades of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were the highest. During the five semesters, the average academic warning rat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6.6%. The variables that received the most academic warning were male(8.7%), second-grader(8.0%), natural college(9.2%), and developmental disability(14.1%). Factors affecting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classified in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ternal factors include difficulty in academic performance by disability type, lack of learning and testing strategies, and low level of motivation. External factors are autonomous academic management, adaptation of professors, and adaptation to the Support Center for Student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It was proposed to provide education to improve the level of preparation for basic education, improve the PCP(Person-Centered Plan) for RTI(response to intervention), and re-establish the role of the center for suppor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순영(Hwang, Soon-Young),차세진(cha sejin),이후희(Lee HooHee),이연희(Lee, Yeon-Hee),조두년(Cho, Doo-Nyun). (2021).장애대학생 학업성취 실태분석을 통한 고등교육 지원방안 탐색.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4 (1), 29-60

MLA

황순영(Hwang, Soon-Young),차세진(cha sejin),이후희(Lee HooHee),이연희(Lee, Yeon-Hee),조두년(Cho, Doo-Nyun). "장애대학생 학업성취 실태분석을 통한 고등교육 지원방안 탐색."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4.1(2021): 29-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