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중도중복장애 학생 통합교육 경험 및 지원요구
이용수 5
- 영문명
-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Special Class Teachers in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Middle and High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나인정(Ra, In-Jung) 이미숙(Misuk Lee)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4권 제1호, 135~15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1.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중도중복장애 학생 통합교육 경험과 그에 따른 지원요구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참여자는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5명으로, 자료 수집은 개별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는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통합교육 참여와 수업 운영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고,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교육은 특수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생각하였다. 둘째, 특수교사는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통합교육을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었고, 보조인력과 함께 이들을 지원하고 있었으며,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학부모는 특수학교보다는 특수학급에 기대를 한다고 생각하였다. 셋째, 특수교사는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교육적 변화에 뿌듯함을 경험하기도 하였고, 학부모와 도우미 학생들에게 고마움을 느끼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특수교사는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학부모와 신뢰를 형성하기를 기대하고 있었고, 중도중복장애 학생에 대한 인식 개선과 전담인력 배치 등 행정적 지원을 요구하였다. 결론: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통합교육 배치를 위한 행정적 지원, 특수학교 견학 프로그램 제공 등의 학부모 지원,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마련 등의 교육적 지원, 전문적 학습 공동체 참여 등을 통한 특수교사 차원의 노력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pecial class teachers’ experiences in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to suggest ways to support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A total of 5 special class teachers in middle and high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tudy. Qualitative interviews were implemented, and the interview data was analyzed qualitatively. Results: First, the special teachers felt difficulties in teaching the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 The teachers also thought that special schools were more appropriate for the education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Second, the special class teachers made various efforts for the inclusive education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felt importance of the support from assistive staff. The teachers figured out that the parents preferred to send their children to special classes instead of special schools. Third, the special teachers felt that it made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happy to show the changes. As well, the teachers felt appreciation from the parents and helpers. Finally, the special teachers wanted to have trust of the parents, and the teachers requested administrative support for inclusive placement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hat administrative supports for the inclusive education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for parents such as providing special school tour programs and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should be implemented. As well, it is important for special teachers to make an effort to get involved in a professional learning group for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체장애인의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중도중복장애 학생 통합교육 경험 및 지원요구
-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과 교사수준 및 학교수준 변인의 관계 - 다층모형 분석의 활용을 중심으로
- 예비특수교사의 교수철학이 모바일 스마트교육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삽입교수를 활용한 AAC 중재가 헌터증후군 중학생의 의사소통 행동과 자발적 발성에 미치는 효과
-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 관련 고충과 지원요구 탐색
- 중도장애학생의 시선을 활용한 과학 체험 활동 가상현실 콘텐츠 개발 및 적용가능성 탐색
- 장애대학생 학업성취 실태분석을 통한 고등교육 지원방안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