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Korean Women’s Diaspora and the Politics of Identity: Focusing on German adoption of Korean Women
- 발행기관
- 한국세계지역학회
- 저자명
- 박채복(Park, Chae-Bok)
- 간행물 정보
- 『세계지역연구논총』제37집 제1호, 89~11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글로벌한 시대 세계 각지에서 민족국가의 경계를 넘는 트랜스내셔널한 정체성을 가지고 살아가는 한인여성입양인을 중심으로 한인여성의 이주에 대한 역사화작업을 시도하고자 한다. 자신의 의지가 아닌 국가의 정책적 선택으로 타자에 의해 입양이란 이름으로 성원권을 부여받는 국가로의 이동이 해외입양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본 논문은 독일 한인여성입양인을 중심으로 그동안 한인이주연구에서 조명 받지 못하고 제외되었던 입양을 통한 한인여성의 이동역사를 규명해보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먼저 국가의 주도하에 이루어진 해외입양의 배경 및 요인 그리고 사회문화적 담론을 살펴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해외입양과 국가의 관계라는 측면에서 입양을 받아들인 독일의 입양정책과 독일 한인여성입양의 현황 및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본 논문은 한인이주사뿐만 아니라 한인여성사에서도 가시화되지 않고 배제된 이슈영역인 독일 한인여성입양의 역사 및 한인여성입양인의 문화적 권리와 정체성 정치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will examine the migration history of Korean female adoptees in Germany, who live in a transnational identity that crosses the boundaries of nation - state from all over the world in the global era.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transition to a country which is granted the right of citizenship by the name of adoption by the other as a policy choice of the state rather than its own will is a international adoption, and aims to examine the history of Korean women’s displacements through adoption centering around Germany. To do so,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background and factors of international adoption led by the state and socio - cultural discourse. In addition, this paper will examine the adoption policies by Germany in terms of international adoption, and the current status of adoption of Korean women in Germany. In this process, this paper attempts to make a more systematic approach to the cultural rights and identity politics of Korean female adoptees in Germany, which are issues that is not visible in the history of Korean diaspora women.
목차
Ⅰ. 서론
Ⅱ. 해외입양의 배경 및 사회문화적 담론의 변화
Ⅲ. 독일의 입양정책과 한인여성입양 현황
Ⅳ. 트랜스내셔널 디아스포라와 정체성의 정치 구현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환동해에 있어서 조선족 이주와 초국가적 관계망
- 한인여성의 디아스포라와 정체성의 정치
- 국제 상사분쟁의 새로운 경향
- 환경난민을 둘러싼 주변국의 입장과 대응방안
- 중국 기업의 조직사회화가 사회적 자본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2차 북미정상회담 평가 및 전망
-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의 이승만 탄핵 재검토
- 중국의 인구구조 변화와 ‘전면적 두 자녀 정책’ 도입
- 니카라과의 또 다른 정치적 변곡점, “4.19 학생운동”을 중심으로
- ASEAN Factor and the Converging South Korea’s ‘New Southern Policy’ with India’s ‘Act East Policy’
- 비전통안보 이슈의 국제정치
- 북한의 군사도발과 환경적 요인 연구
- 하노이 2차 북미정상회담의 한계와 성과
- 영국의 로비법제화과정 연구
- 김정은 시대의 기업관리방식과 역할 변화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