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SEAN Factor and the Converging South Korea’s ‘New Southern Policy’ with India’s ‘Act East Policy’
이용수 12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세계지역학회
- 저자명
- Yun, JiWon Nguyen Tran Tien
- 간행물 정보
- 『세계지역연구논총』제37집 제1호, 333~35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Changing geopolitical landscape in the Asia-Pacific has put the regional and global security architecture in the spotlight and extensively transformed. ASEAN, India and South Korea have emerged to become important partners and their relation has become multidimensional and comprehensive. They should work together as a triangular strategic partner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maintenance of the global security and ensure their centrality in the geopolitical balance between the United States, China as well as other world powers. One of the priorities in Policy Tasks of Moon Jae In’s Administration is to reinforc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through diplomacy. He provided an opportunity to impart new momentum to diversify ROK’s diplomatic and economic strategies. The “New Southern Policy (NSP)” with its aims means to leverage ASEAN as key partners like other major players in the region and complements India’s “Act East Policy (AEP).” The article begins by analytical understanding the background of India’s Act East policy and South Korea’s New Southern Policy. Interestingly, both AEP and NSP pivot on ASEAN. Therefore, this article further identifies South East Asia and ASEAN as the driving forces for the compatibility in these policies. Taking stock of South Korea - India traditional bilateral relations and evaluating the outcome of the present administration, the article assesses the possibilities for converging these policies and the prospects of South Korea - India relation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ASEAN in India’s AEP and South Korea’s NSP
Ⅲ. Converging the NSP with AEP and South Korea-India relations
Ⅳ. Conclusion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환동해에 있어서 조선족 이주와 초국가적 관계망
- 한인여성의 디아스포라와 정체성의 정치
- 국제 상사분쟁의 새로운 경향
- 환경난민을 둘러싼 주변국의 입장과 대응방안
- 중국 기업의 조직사회화가 사회적 자본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2차 북미정상회담 평가 및 전망
-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의 이승만 탄핵 재검토
- 중국의 인구구조 변화와 ‘전면적 두 자녀 정책’ 도입
- 니카라과의 또 다른 정치적 변곡점, “4.19 학생운동”을 중심으로
- ASEAN Factor and the Converging South Korea’s ‘New Southern Policy’ with India’s ‘Act East Policy’
- 비전통안보 이슈의 국제정치
- 북한의 군사도발과 환경적 요인 연구
- 하노이 2차 북미정상회담의 한계와 성과
- 영국의 로비법제화과정 연구
- 김정은 시대의 기업관리방식과 역할 변화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