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하노이 2차 북미정상회담의 한계와 성과

이용수  120

영문명
Limitations and Achievements of the Hanoi 2nd NK-U.S. Summit
발행기관
한국세계지역학회
저자명
정한범(Hanbeom Jeong)
간행물 정보
『세계지역연구논총』제37집 제1호, 359~38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던 제2차 북미정상회담이 세간의 기대와는 달리 합의문 채택에 실패하면서 향후 남북관계에 대한 비관적 전망이 확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협상은 두 가지 측면에서 큰 의의가 있다. 첫째는,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서 처음으로 양측이 원하는 내용을 드러냈다는 점이다. 그동안 실무회담이 공전할 수밖에 없도록 만든 원인이 서로가 자신들의 패를 드러내지 않은 데에 있었다는 점에서 향후 실무회담에서 실질적인 논의를 통해 합의안 도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북한이 처음으로 미국이 주장하던 CVID를 받아들였다는 점이다. 영변핵시설에 대해서 북미 양측이 공동으로 영구적으로 핵폐기를 하자고 하는 북한의 입장은 향후 비핵화의 진전에 있어서 교범으로 작동할 가능성이 있다. 북미관계의 교착국면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금강산관광에 대한 제재를 우회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등 미국과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서 우리의 중재 역할이 더 중요해질 것이다.

영문 초록

The second North Korea-US summit, which drew global attention, failed to adopt an agreement despite the public expectations. Accordingly, pessimistic forecasts on the future inter-Korean relationship is growing. Nevertheless, this negotiation has great significance in two respects. First, for the first time the summit revealed what each country wanted. The working-level talks have gone round and round in circles and did not make any progress since they didn’t show their cards. In the future, it will be expected to draw up an agreement through substantive discussions. Recent working-level talks have not shown any progress because both governments didn’t actually show their own cards. Therefore in the future, it is likely that an agreement through substantive discussions will be drawn. Second, for the first time North Korea accepted the CVID, which U.S. has claimed. North Korea accepted U.S. demand for the permanent dismantlement of the Yongbyon nuclear facilities, and this consultation is likely to work as a manual in the future progress of denucleariz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stalemate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S., South Korea’s role as a mediator will become much more important, such as strengthening close cooperation with the U.S. and finding ways to circumvent sanctions on Mt. Kumgang tourism.

목차

Ⅰ. 서론
Ⅱ. 하노이 북미정상회담에 대한 기대치와 결과
Ⅲ. 예상 밖 결과의 요인
Ⅳ. 회담내용에 대한 진실공방의 평가와 분석
Ⅴ. 향후 전망과 남북관계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한범(Hanbeom Jeong). (2019).하노이 2차 북미정상회담의 한계와 성과. 세계지역연구논총, 37 (1), 359-382

MLA

정한범(Hanbeom Jeong). "하노이 2차 북미정상회담의 한계와 성과." 세계지역연구논총, 37.1(2019): 359-3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