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체육계 여성의 경력단절 극복 경험 탐색
이용수 102
- 영문명
- Exploring the Experience of Women in sports field Overcoming Career break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인(Lee 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5호, 653~67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0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계 여성이 경력단절을 극복해나가는 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맥락과 구조를 파악하고 통합적인 핵심범주를 도출해 내는데 있으며, 이를 통해 재취업을 원활히 돕기 위한 재교육 시스템 및 직업 환경 조성에 필요한 유의미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를 위해 이론적 표본추출 방법에 근거하여 6명의 연구 참여자를 점차적으로 선정하였고 심층면담과 문서 수집을 실시하였다. 분석 방법은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3단계 분석 단계에 따라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을 실시하였으며,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해 모든 분석 및 해석 과정에서 구성원 간 검토 및 전문가 협의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개방코딩인 ‘체육계 여성의 경력단절 극복과정 범주화’를 통해 102개의 개념과 24개의 하위범주, 1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인 ‘체육계 여성의 경력단절 극복과정 구조화’를 통해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을 실시하여 6가지 구성요소에 범주를 배치시키고 각각의 속성과 차원을 확인하였다. 선택코딩인 ‘체육계 여성의 경력단절 극복과정 구축’에서는 핵심범주로 ‘예전의 나를 찾기 위한 노력과 도전으로 커리어 우먼으로써 재도약하기’가 선정되었으며, 이야기 윤곽전개를 통해 전체 범주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경력 단절된 체육계 여성들은 이전과 달라진 자신의 모습에서 변화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와 노력을 하였고 가족과 사회의 지지와 협력을 통해 재사회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나감으로써 커리어 우먼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현재는 더 활발한 활동을 희망하거나 자신이 처한 상황을 힘들고 불안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in order to develop retraining programs that would help the women’s reemployment and improve the reemployment system by coming up with a substantive theory including categorization and standardization of the steps to overcome their career break. Based on theoretical sampling, six of the participants were gradually selected and interviewed, and their documents were collected. For analysis,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were implemented using the three analysis steps suggested by Strauss & Corbin (1998). Also, for data veracity, both member checking and peer debriefing have been conducted during all the process of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s a result, 101 concepts, 24 sub-categories and 19 categories have been introduced through Categorization of overcoming process of career break of women in sports field as an open coding. In addition, categories were located into six different components by performing category analysis by paradigm through Structurization of overcoming process of career break of women in sports field as an axial coding. Also, for Construction of overcoming process of career break of women in sports field as a selective coding, ‘Establishing as a career woman through growth and efforts for change’ was selected. Consequently, the women having discontinued their career tried and made an effort to shift to better of them having been changed from the past. Moreover, many of them succeeded as a career woman by setting a solid foundation to go back to the society through family’s support and cooperation. Also, some of them hoped to work more actively and others felt pressed or anxious about the situation they were i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집단따돌림, 스트레스 대처, 자아존중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행복감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을 위한 유아교사 양성기관의 ‘놀이지도’ 교재 내용 분석
- 상상력을 활용한 깊은 학습(Learning in Depth)의 연구동향 분석
- 대학생들의 캡스톤 디자인 수업방법에 대한 인식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요양병원 간호사의 BPSD 간호부담감이 치매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 협력적 문제해결역량 강화를 위한 융합교육 모델 설계
- 성인전기 여성 학습자의 발달과업 인식에 따른 평생교육 참여 양상에 관한 연구
-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지원을 위한 텍스트 분석 기반 질문 자동 생성 프레임워크
- 역할극을 활용한 항공객실서비스 영어 교수·학습 모형 연구
- 대학 학습자 중심 수업에서의 학습자 저항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스마트미디어 과다사용과 중학생의 사이버불링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능력의 조절효과
-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행에 대한 교사의 인식
- 북한이탈청소년의 대학진학준비 경험에 대한 연구
- 유아기 학교준비도 유형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 유형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진로정체감, 삶의 만족도 간의 종단적 인과관계
- 창업교육프로그램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효과
- OECD 학습 나침반 2030에 기초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방향 고찰
-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력제고연구 참여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간호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역할갈등 및 간호전문직관의 관계
- 대학생의 연인관계 유형에 따른 성인애착과 자아탄력성의 차이
- 관계갈등 정서인식곤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조부모와 양육 아동의 유대감과 상호작용 형성을 위한 협동 미술체험 프로그램 개발
- 평생학습공간으로서의 협동조합
- 국내 대학의 비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15호 목차
-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 현대시 해석 양상 연구
- 중학교 ‘직업적 진로탐색’ 단원의 백워드 설계
- [논문철회] An Exploration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Perspectives on Flipped Learning
- 통합운영학교 운영에 대한 교원 인식 분석
- 대학생의 개인적 가치, 대인적 가치, 사회적 가치, 창의적 인성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일본, 싱가포르, 미국의 초등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분수 연산 내용 분석
-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방글라데시 아동권리교육 프로그램 교수학습방법의 효과
- 중학생의 영어 자기효능감과 수업참여도, 그리고 학습자가 인식한 교사의 수업방법이 영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 대학생의 학습동아리 활동에 나타난 공동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 체육계 여성의 경력단절 극복 경험 탐색
- 만 5세 이야기 나누기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교수화법에 대한 사례연구
- 친구들과의 노는 시간과 컴퓨터/게임기 오락시간이 아동의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
- 근거이론적 경험 탐색을 통한 학사경고자 학습지원 요구 분석
- PASS-BAR를 활용한 인수인계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인수인계 자기효능감, 인수인계 수행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 임상실습에서 경험한 무례함과 회복탄력성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학사경고와 극복경험에 대한 질적메타종합 연구
- 지적장애아동을 위한 통합무용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대학교양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 재직자 대학생의 대학 교육 경험에 대한 연구
- 메이커 교육 평가 루브릭 개발에 관한 연구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메타포 분석
- K-MOOC에서 교수실재감, 학습참여도, 학습만족도의 관계 분석
- 실감형 교육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기술과 활용 전망 분석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정형 표현 오류 연구
- 어머니의 우울이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집행기능곤란에 미치는 영향
-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학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초기 성인기의 노인돌봄태도 영향 요인
- 중·고등학교 전환 시기 교사-학생관계 유형의 변화와 유형별 학습동기의 차이
- 협력학습 수업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성취동기와 팀 효능감에 따른 잠재집단별 집단지성의 차이
- 플립드러닝 수업에서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상호작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및 학업수준에 따른 수업효과 인식
- 체육교과에서 거꾸로 수업(Flipped Learning)을 경험한 초등 교사들의 IPA 인식 연구
- 전신진동운동이 비만 초등학생의 신체구성과 학생건강체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민족시의 상반된 구현: 쑤샤와 루자이이에 의한 동명의 중국 예술가곡 《사랑하는 우리의 대지》(我爱这土地) 분석 및 비교 연구
- 근대 프랑스의 보수적 비주류 음악에 관한 연구: 뱅상 댕디의 「피아노 소나타 Op. 63」을 중심으로
- 예술에서의 신명 체험 현상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scoping review)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