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 현대시 해석 양상 연구
이용수 334
- 영문명
- A study on Vietnamese learners’ understanding of Korean poetry: focused on Hyangsu by Jeong Ji-yo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황티장(Hoang Thi Trang) 김지혜(Kim Jee Hy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5호, 1181~120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0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베트남인 대상 한국문학교육에서 대학생 학습자의 한국 현대시 이해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향후 베트남인 대상 한국 현대시 교육과정 설계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베트남인 대학생 학습자는 베트남의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교수·학습되는 모국 문학을 통해 문학 능력을 형성한 자들로, 외국 문학을 읽을 때에도 이를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학습자들이 모국 문학 기반의 문학 능력을 외국 문학의 독서에 활용하는 방식과 내용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적으로 밝혀진 바가 없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베트남인 대학생 학습자들이 정지용의 <향수>를 읽고 적은 감상문을 수집·분석하여 베트남 문학 기반의 문학 능력이 베트남인 학습자들의 한국문학 독서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했다. 그 결과, 베트남인 대학생 학습자들은 <향수>와 이미지와 형식이 구축하는 의미를 분석하기 위하여 베트남의 시교육을 통해 학습한 시의 장르적 특성을 도입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수>가 일제 강점기에 발표된 시라는 정보는 학습자들이 베트남의 식민지 문학에 대한 선지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이끌었다. 또한 <향수>의 주제의식이나 문학적 가치를 규명하기 위하여 그동안 베트남의 문학사가 자국 문학의 해석과 의미화에 투영한 가치의식을 활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과 베트남은 동아시아 문화권에 속한 국가이자 근·현대사적으로 유사한 사건을 공유한 국가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양국의 구체적인 역사적 사건과 국가적 이념의 토대는 상이하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베트남 문학을 통해 형성한 문학 지식을 한국문학 독서에 활용할 수 있게 하려면 몇 가지 교육적 처치가 가해질 필요가 있다. 그런 점에서 이 연구는 베트남인 학습자 대상의 한국문학교육이 다룰 내용을 구체적으로 탐색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contemporary Korean poetry among Vietnamese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designing the curriculum of Korean modern cities for Vietnamese in the future. Vietnamese university student learners are those who have formed literary skills through Vietnamese literature taught and learned through Vietnam’s national curriculum. They use knowledge learned through literature in their home country when reading foreign literature. However, the method and content of these learners’ use of reading ability based on their native literature for reading in Korean literature has not been revealed. Therefore, in this study, Vietnamese university student learners read Jung Ji-yong’s Hyangsu and collected and analyzed a small amount of sentiments, confirming the influence of Vietnamese literature-based literary ability based on Vietnamese learners’ reading of Korean literature. Results confirmed that Vietnamese university student learners could be introduced to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Vietnamese poetry in order to analyze the meaning of “fragrance,” image, and form. Hyangsu, the colonial paper published in the period of Shirahama information, was used so that learners could actively use their knowledge of the colonial literature of Vietnam.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Vietnamese literary historians used the value consciousness projected in Vietnamese literature to identify the literary meaning and value of Hyangsu. Korea and Vietnam belong to East Asian culture, and they are neighboring countries that share similar events through dialogue. However, the specific historical events of both countries and the foundations of national ideology are clearly different. Therefore, in order to enable learners to utilize literary knowledge formed through Vietnamese literature in Korean literature reading, it is necessary to apply educational measures. In this regar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pecifically explores the contents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for Vietnamese learne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베트남인 대학생 학습자의 <향수> 해석 양상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집단따돌림, 스트레스 대처, 자아존중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행복감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을 위한 유아교사 양성기관의 ‘놀이지도’ 교재 내용 분석
- 상상력을 활용한 깊은 학습(Learning in Depth)의 연구동향 분석
- 대학생들의 캡스톤 디자인 수업방법에 대한 인식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요양병원 간호사의 BPSD 간호부담감이 치매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 협력적 문제해결역량 강화를 위한 융합교육 모델 설계
- 성인전기 여성 학습자의 발달과업 인식에 따른 평생교육 참여 양상에 관한 연구
-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지원을 위한 텍스트 분석 기반 질문 자동 생성 프레임워크
- 역할극을 활용한 항공객실서비스 영어 교수·학습 모형 연구
- 대학 학습자 중심 수업에서의 학습자 저항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스마트미디어 과다사용과 중학생의 사이버불링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능력의 조절효과
-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행에 대한 교사의 인식
- 북한이탈청소년의 대학진학준비 경험에 대한 연구
- 유아기 학교준비도 유형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 유형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진로정체감, 삶의 만족도 간의 종단적 인과관계
- 창업교육프로그램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효과
- OECD 학습 나침반 2030에 기초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방향 고찰
-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력제고연구 참여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간호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역할갈등 및 간호전문직관의 관계
- 대학생의 연인관계 유형에 따른 성인애착과 자아탄력성의 차이
- 관계갈등 정서인식곤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조부모와 양육 아동의 유대감과 상호작용 형성을 위한 협동 미술체험 프로그램 개발
- 평생학습공간으로서의 협동조합
- 국내 대학의 비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15호 목차
-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 현대시 해석 양상 연구
- 중학교 ‘직업적 진로탐색’ 단원의 백워드 설계
- [논문철회] An Exploration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Perspectives on Flipped Learning
- 통합운영학교 운영에 대한 교원 인식 분석
- 대학생의 개인적 가치, 대인적 가치, 사회적 가치, 창의적 인성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일본, 싱가포르, 미국의 초등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분수 연산 내용 분석
-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방글라데시 아동권리교육 프로그램 교수학습방법의 효과
- 중학생의 영어 자기효능감과 수업참여도, 그리고 학습자가 인식한 교사의 수업방법이 영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 대학생의 학습동아리 활동에 나타난 공동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 체육계 여성의 경력단절 극복 경험 탐색
- 만 5세 이야기 나누기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교수화법에 대한 사례연구
- 친구들과의 노는 시간과 컴퓨터/게임기 오락시간이 아동의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
- 근거이론적 경험 탐색을 통한 학사경고자 학습지원 요구 분석
- PASS-BAR를 활용한 인수인계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인수인계 자기효능감, 인수인계 수행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 임상실습에서 경험한 무례함과 회복탄력성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학사경고와 극복경험에 대한 질적메타종합 연구
- 지적장애아동을 위한 통합무용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대학교양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 재직자 대학생의 대학 교육 경험에 대한 연구
- 메이커 교육 평가 루브릭 개발에 관한 연구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메타포 분석
- K-MOOC에서 교수실재감, 학습참여도, 학습만족도의 관계 분석
- 실감형 교육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기술과 활용 전망 분석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정형 표현 오류 연구
- 어머니의 우울이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집행기능곤란에 미치는 영향
-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학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초기 성인기의 노인돌봄태도 영향 요인
- 중·고등학교 전환 시기 교사-학생관계 유형의 변화와 유형별 학습동기의 차이
- 협력학습 수업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성취동기와 팀 효능감에 따른 잠재집단별 집단지성의 차이
- 플립드러닝 수업에서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상호작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및 학업수준에 따른 수업효과 인식
- 체육교과에서 거꾸로 수업(Flipped Learning)을 경험한 초등 교사들의 IPA 인식 연구
- 전신진동운동이 비만 초등학생의 신체구성과 학생건강체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부모 악성민원과 교권침해 문제의 재검토
- 가정-지역사회 연계 부모교육과 자조모임에 근거한 마음가치 부모성장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 장애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경감 및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중심으로
- 역량 중심 초등학교 학부모교육을 위한 학부모 및 교사 요구도 분석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